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경제/경제용어/ㅈ

자기자본비율

편집

自己資本比率

기업의 총자본에 대한 자기자본의 비율을 자기자본비율이라 하며 기업의 자본구성을 나타낸다. 기업이 발전할 때에 자기 자본만으로는 부족하여 아무래도 타인자본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게 되는데 이 경우 자산면(資産面)도 아울러 고려하여 적정한 자기자본비율을 확보해야만 한다. 기계 설비 증대 등으로 고정자산의 비중이 높아지거나 또한 유동자산에서도 장기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도 마땅히 자기자본비율을 높여 경영상의 건전성을 지킬 필요가 생기는 것이다. 또한 자기자본비율이 높다는 것은 경영재무상의 안정·탄력성을 의미하는 동시에 그로 인하여 타인자본을 조달함에 있어 필요한 신용이 획득됨을 뜻한다.

자기자본·타인자본

편집

自己資本·他人資本

--> 자본구성

자기자본회전율

편집

自己資本回轉率

--> 자본회전율

자동승인제

편집

自動承認制 --> AA제

자본거래

편집

資本去來

국제수지는 경상거래와 자본거래로 나뉘어 있으며 전자를 계상하는 것을 경상계정, 후자를 계상하는 것을 자본계정이라 한다. 자본거래란 국제간에 있어서 유가 증권의 매매, 자본의 대차, 기타 채권, 채무에 관계되는 거래를 말한다. 자본거래의 분류는 거래 주체와 거래 기간으로 한다. 거래자가 민간이면 민간자본거래이며 정부이면 정부자본 거래이다.

자본계수

편집

資本係數

자본 스톡 K와 국민소득 Y와의 비율. 즉 K/Y를 자본계수 또는 자본·산출고 비율이라 한다. 이 경우 K와 Y는 모두 실질단위로 환산된 값을 지니고 있다. 또한 자본계수의 역수(逆數), 즉 Y/K를 자본의 산출계수라 부른다. 자본계수의 값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일정량의 생산을 위해 필요한 자본량이 크다는 것이며 바꾸어 말하면 자본의 산출효과가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본계수는 가속도 원리의 기초를 이루는 개념인 동시에 최근의 경제성장 이론에서의 지표로서 소홀히 할 수 없는 것이다. 자본주의가 급속한 발전을 이룩한 최근의 약 1세기에 걸쳐서 미국이나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그 자본계수에 별로 큰 변화를 볼 수 없으며 거의 일정치(一定値)를 확보하고 있다. 이것은 자본 축적이 진행됨에 따라 '자본의 유기적 구성'이 고도화함을 말한다. 즉 자본계수가 큰 값을 갖게 된다는 마르크스의 견해와 대립하는 셈이 된다.

자본구성

편집

資本構成

기업에서의 자본은 그 조달원(調達源)으로 보아 자기자본과 타인자본으로 구별되며 이 양자의 비율을 기업의 자본구성이라 한다. 자기자본이란 자본금, 여러 종류의 준비금, 잉여금으로 이룩되는 소유자 자본이며 타인 자본이란 사채(社債)·은행차입금 등의 장기 및 단기의 차입자본이다. 기업이 생산을 확대하여 발전시키려면 아무래도 자기 자본을 조달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여 타인자본에 대한 요청이 필요해진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타인자본, 특히 은행 단기차입금에 대한 의존이 심하여 자본구성이 극도의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자본도피

편집

資本逃避

국내 인플레나 통화불안 또는 과중한 세부담(稅負擔)으로 인해 자국통화의 가치하락이 예견(환평가 절하따위)될 때, 또는 자국통화의 외화에의 전환을 규제·금지하고 있는 경우 자국통화자금을 외화 자금으로 바꾸어 국외로 유출하는 행위를 말한다. 그것은 보통 외국환 외화증권을 사들이는 형태일 때에 많은데 환시세 하락, 국제수지악화 등을 초래하게 되어 어느 나라이건 모두 외환관리법이나 자본도피 방지법 등을 마련하여 이를 단속하고 있는 것이다.

자본생산성

편집

資本生産性

--> 생산성

자본수출

편집

資本輸出

보통 수출이라 하면 물자가 수출되는 것을 생각한다. 그러나 차관이나 투자의 형태로 자본이 수출되는 것도 많다. 이러한 자본의 국제 이동을 자본수출이라 부른다. 차관의 경우는 용도를 규정한 프로그램론과 규정하지 않은 임팩트 론, 투자의 경우는 직접 투자와 간접 투자가 있다.

자본시장

편집

資本市場

장기적인 산업자금의 수요·공급이 이루어지는 시장을 일반적으로 자본시장이라 한다. 금융시장을 넓게 해석하면, 화폐시장(기업의 운전자금이 거래되는)과 자본시장(설비 자금이 거래되는)으로 나뉜다. 또 거래 기간의 구별에 따라서 단기금융시장(관습으로서 1년 이내)과 장기금융시장(관습으로서 1년 이상)으로 나뉜다. 그래서 화폐 시장은 단기금융시장에, 자본시장은 장기금융시장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또 자본시장은 장기대부시장(금융기간 장기 대출을 한다)과 증권의 발행 시장(주식·국채·사채 등의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한다)으로 나뉜다.

자본의 순환(과정)

편집

資本-循環(過程)

마르크스의 경제학에 따르면 자본은 세 과정을 거쳐 순환한다. 우선 자본가가 화폐로서 생산 수단이나 노동력을 구입하는 유통과정, 이것을 생산적으로 소비하여 새로운 상품을 생산하는 생산 과정, 완성된 상품을 팔아 다시 화폐를 회수하는 유통과정이 이것이다. 즉 자본은 G-W…P…W′-G′(G는 화폐자본, W는 상품자본, P는 생산과정을 나타내며, 여기서 작용한는 자본은 생산자본, W′·G′는 P를 거쳐 증식된 상품자본 및 화폐 자본)를 반복하면서 순환운동을 계속하는 것이며 G에서 시작된 운동은 다시 본래의 G의 형태로 되돌아가고(화폐 자본의 순환), W, P로 시작하는 운동도 각각 본래의 W, P의 형태로 되돌아간다(상품자본의 순환, 생산자본의 순환). 자본의 운동은 이 전순환 과정을 통하여 비로소 총체적인 파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자본의 유기적 구성

편집

資本-有機的構成

단순히 자본 구성이라고도 하며 자기 자본 대 타인 자본의 비율을 가리키는 자본 구성과 구별해야만 한다.

생산 과정에서의 생산자본은 일정량의 생산수단(기계·설비·원자재) 및 이것을 움직일 때 필요한 일정량의 노동력으로 이루어진다. 양자의 양적 비율은 노동생산력의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본의 기술적 구성이라 한다. 한편 자본을 그 가치의 측면에서 본다면 생산수단으로서 그대로 생산물에 스스로의 가치를 이전시키는 불변자본(不變資本) 부분과 가치증식(價値增殖)하는 가변자본(可變資本)의 부분으로 나뉘며 이 불변자본 대 가변자본이라고 하는 양자의 비율을 자본의 가치 구성이라 한다.

이상 두 자본구성은 반드시 동일한 것이 아니지만 서로가 밀접한 상호관계에 있다. 자본의 유기적 구성이란 양면에서 파악한 자본의 구성, 즉 자본의 기술적 구성에 의해서 규정되고 또한 그 변화를 반영하는 자본의 가치구성을 말하는 것이다.

자본의 한계효율

편집

資本-限界效率

어떤 자본을 새로 한 단위 추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예상수익률, 즉 그 자본에 대한 투자의 예상수익률을 그 자본의 한계효율이라 한다. 가령 이 자본의 공급가격을 R, 자본의 존속기간중에 얻어진다고 예상되는 수익의 계열을 Q1,Q2...Qn로 한다면 한계효율 m은 수익계열 Q1,Q2...Qn의 현재가치로 하여 그의 공급가격과 같게 하는 할인율이라 정의된다. 이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R = Q1/(1+m) + Q2/(1+m)^2 + ... ... + Qn/(1+m)^n 으로 된다. 각종 자본의 한계효율 가운데에서 최대의 것이 자본 전반의 한계효율이 되고, 따라서 이 한계효율과 시장이자율이 같은 점에서 투자량이 결정된다.

자본자유화

편집

資本自由化

외국으로부터의 투자 특히 주식 취득, 외국 은행 자본의 진출 등 자본 유입에 대한 제한을 배제하는 일이다.

자본재

편집

資本財

생산재 중에서 토지와 노동을 제외한 것을 일반적으로 자본재라 한다. 인간에 의하여 생산된 생산수단 혹은 중간 생산물에 해당한다. 때로는 토지를 자연자본으로서 넣는 경우도 있다. 자본재는 주로 고정 자본재와 유동 자본재로 나뉜다. 고정 자본재는 기계·장치 기타 공장설비를 가리킨다. 유동 자본재는 원료·재료를 가리킨다. 토지와 노동을 넣은 것을 생산재라고 했으나 협의의 생산재로서는 유동 자본재를 말한다. 그리고 투자재라 할 경우, 자본재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많으나 투자재와 자본재를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자본준비금

편집

資本準備金

상법에 의하여 기업 자금으로서의 적립이 강요되는 법정준비금 중에서 액면주(額面株)의 할증발행(割增發行)에 의한 주식 프리미엄이나, 무액면의 경우 불입 잉여금 등으로 되는 준비금을 자본준비금이라 한다. 이에 대하여 매기(每期)의 순이익을 바탕으로 적립되는 것을 이익준비금이라 한다.

자본집약도

편집

資本集約度

생산에 투입된 자본·노동 비율 K/L이 자본집약도이며 노동 1단위당에 장비된 자본량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노동의 자본장비율이라고도 한다. 이 자본은 원자재 등 유동자본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으나 흔히 고정자본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기술진보, 기계화의 진전과 함께 노동자 1인당의 고정자본량은 증대하고 따라서 자본집약도는 높아진다. 가령 산출량 O가 노동량 L과 자본량 K와의 증가함수라고 한다면 노동의 생산성 O/L은 자본집약도 K/L의 증가함수이며 따라서 자본집약도가 높아짐에 따라 노동의 생산성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자본축적

편집

資本蓄積

이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소비하지 않고 다음 생산을 위한 자본으로서 사용할 때 자본축적이라 한다. 마르크스 경제학에서는 자본축적의 과정을 잉여가치의 자본으로의 전화(轉化) 과정으로 해석한다. 자본으로 생겨난 잉여가치가 모두 자본가에서 소비되어 버린다면 재생산의 규모는 변화없이 단순재생산이 이루어짐에 불과하지만 이것이 추가적 자본으로 전화됨으로써 확대재생산이 이루어진다.

자본형성

편집

資本形成

--> 투자

자본회전율

편집

資本回轉率

자본 평균 재고에 대한 당기(當期) 매상고의 비율로서 자본의 이용도, 즉 1기간에 자본을 얼마만큼 회전시켰는가를 나타낸다. 자본을 총자본으로 하느냐 혹은 경영자본·자기자본으로 하는가에 따라 총자본회전율·경영자본회전율·자기자본회전율이 되는데 어느 것이나 이 자본회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자본의 이익률도 높아지며, 기업의 수익성을 측정하는 척도가 된다.

자유무역

편집

自由貿易

보호관세(保護關稅) 등을 수반한 보호무역에 반해, 무역에 거의 국가규제를 가하지 않고 자유롭게 수출입을 허용하는 무역형태를 말한다. 국내 산업을 보호한다는 입장에서는 보호무역이 주장되나 오늘날의 세계무역은 IMF나 가트의 역할에도 나타나 있듯이 자유무역의 실현을 지향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자유변동시세제

편집

自由變動時勢制

--> 자유변동환시세제

자유재

편집

自由財

인간의 욕망을 채우는 것이 곧 재(財)인데, 이 재 가운데 욕망에 채우고 남을 만큼 존재하기 때문에 특히 이것을 획득하려고 노력하거나 교환(매매)과 같은 경제행위가 필요없는 것이 있다. 물이나 공기 같은 것이 이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인간의 욕망을 채우는 이상으로 무한히 존재하여 충당해 주는 재를 자유재 혹은 비경제재라 한다. 자유재의 가격은 일반적으로 제로이다.

자유화율

편집

自由化率

국가의 수입 총액 중에서 자유로 수입함을 인정한 것의 비율을 자유화율이라 하고 무역 자유화가 어느 정도 진전되어 있는가의 한 지표가 되는 것이다. 자유화한 품목이 어느 기준이 되는 연도의 정부 구입 수입을 제한 통관실적 중에서 몇 할을 차지했는가를 보아 그것을 합계하여 자유화율을 산정한다.

자재관리

편집

資材管理

자재관리의 범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는데, 생산관리의 한 분야이며 원자재·노동·설비의 세 가지의 생산 요소 중, 으뜸가는 것과 관계되는 중요한 관리 영역이란 점에서는 거의 견해가 일치하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매상고의 적지 않은 부분을 재료비가 차지하고 기업간의 경쟁으로 자재 관리의 중요성이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자재관리의 목표는 먼저 저가격, 고도의 재고 회전율, 낮은 구입비·재고비, 계속적 공급, 품질의 안정화에서 또한 인건비의 절감, 좋은 대업자 관계, 요원의 양성, 기록의 완비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그 적극적 목표로서는 신자재·신제품의 개발·제조 또는 외주(外注)에 관한 경제적 결정 방식의 확립·표준화 제품의 개량, 상호의존적 조화 등을 포함한다.

자주조정

편집

自主調整

격심한 설비투자 경쟁과 시장획득 경쟁 등에서 생기는 여러 폐단을 피하기 위하여 산업계가 자주적으로 설비투자를 억제하거나 생산량과 가격조정에 노력하는 것 등을 말한다.

잔존 수입제도

편집

殘存輸入制度

잔존수입제한을 채택한 제도.

잔존 수입제한

편집

殘存輸入制限

가트가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는 수입제한을 말한다. 잔존 수입제한을 하는 경우는 (1) 가트 사무국에 해당 품목을 통고하고, (2) 2국간 또는 다수국 간 협의를 진행하고 (3) 가트 의무정지에 의한 보복조치가 취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장기자본 수지

편집

長期資本收支

국제수지 가운데에서 자본 거래란 일국의 대외 채권·채무의 증감을 초래하는 모든 거래를 말하는데 이것은 장기자본 거래와 단기자본 거래로 구별된다. 장기자본 거래는 흔히 기한이 1년 이상의 자본 거래와 기한이 한정되지 않은 주식의 매매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해외의 지점, 자회사(子會社)에의 직접 투자·장기차관, 정부의 IMF 및 세계 은행에의 출자 등을 포함한다. 이 장기자본 거래에 의한 수지를 장기자본 수지라 한다.

장치공업

편집

裝置工業

석유 정제·석유화학 등 화학공업, 철강업 들은 거대한 설비나 장치가 없으면 현대 산업에 있어서는 존재할 수가 없다. 이와 같이 거대한 설비나 장치를 필요로 하는 공업을 장치공업이라 한다. 이것들은 거대한 설비 장치를 함으로써 공정(工程)을 단순화하고 노무비(勞務費)의 감소를 꾀하여, 대규모화로써 단위당 코스트를 인하할 수 있도록 규모경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재고순환

편집

在庫循環

재고투자 크기의 순환적 변동. 또 이로 인하여 일어나는 경기순환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단기적인 경기순환에 있어서는 재고투자의 크기의 변동이 심한 것은 각종 통계에 의하여 실증되고, 이것이 단기적인 경기의 동향을 규정하는 요인이 된다. 재고의 감소는 일시적인 경기 후퇴를 일으키는데, 주순환의 상승운동을 전환시키는 일은 없으며 그 의미로 마르크스 경제학파에서는 재고의 감소에 따른 경기의 하강을 중간 공황이라 한다. 경기 순환을 주순환과 소순환으로 나누는 경우에, 소순환은 성격상 재고 순환으로 볼 수가 있다.

재고율지수

편집

在庫率指數

공장설비나 기계에 대한 투자(설비투자)가 증대할 때 즉 경기의 상승기에는 재고품(생산자의 원자재·반제품·제품의 재고나 도매·소매상의 상품 재고)이 부족하기 쉽다. 이와 같이 경기순환과 재고변동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어떤 시점에서 어느 정도의 재고량이 있는가를 살핀 것이 재고 지수로서, 어떤 일정 시기의 재고량을 기준으로 하여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재고율 지수라고 할 경우는 월간 출하액에 대한 월말 재고액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재고조정

편집

在庫調整

기업이 각자의 경기예측에 의거하여 원자재나 제품의 재고를 늘리거나 줄이거나 하는 일. 특히 경기 상승기에 수요의 신장을 상회하여 급속히 축적된 재고가 금융 긴축 등의 경기억제 조치에 따른 수요의 감소와 함께 과잉한 상태가 된 경우에 재고의 양을 줄이는 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재고의 유지에는 고객에 대한 상품의 빠른 제공이나, 매상의 급격한 변동에 수반하는 생산 부문의 혼란의 회피, 원자재·반제품 등의 축적에 따른 생산계획의 확실한 설정 등의 목적이 있으므로 재고조정 때에도 일정 수준의 재고를 확보하는 일을 전제로 하여 그 수준까지 재고를 감소시키려고 하는 것이다. 또 이와 같은 재고조정을 위해 조업의 단축 등이 이루어져 그것을 통하여 경기 후퇴(리세션)가 초래되는 때에 그러한 경기 후퇴를 인벤토리 리세션이라 부른다.

재고투자

편집

在庫投資

재고품 총액을 증가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투자를 재고투자라고 하며, 그 내용에 따라서 원자재 재고투자, 반제품 재고투자, 제품 재고투자의 셋으로 나뉜다. 최초의 두 가지는 경기의 오르내림을 예상하여 재빨리 이에 적합되지만 제품 재고투자는 경기 후퇴기에도 잔품의 형태로 의도하지 않은 투자 증가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품 재고투자의 파동은 다른 두 파동보다 뒤늦게 변동하는 것이 보통이다. 경기 순환 중 3, 4년을 주기로 하는 소순환(키친파동)에서는 재고투자의 파동이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특히 재고투자에 대해서 주의해야 할 일은 생산자가 계획하고 의도하여 행한 재고품의 증가뿐만 아니라, 수요에서도 사지 못한 채로, 예상 이상으로 팔고 남은 재고품의 증가도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다. 전자를 '의도한 재고투자', 후자를 '의도하지 않은 재고 투자'라 한다. 재고품에도 순환적 변동이 보여, 전체로서 생산자의 스톡은 경제활동과 반비례하여 변화하는 것이 정상이다.

재료혁명

편집

材料革命

제2차대전 이래 나일론·플라스틱·반도체 등 이때까지 생각지 못했던 신재료가 속속 등장하여 이때까지 쓰던 재료를 바꾸어야 하는 큰 영향을 주었다. 이것을 재료혁명이라 한다.

그것은 다음의 세 가지 방법으로 나타났다. (1) 재래재료의 혁명적 개량 (2) 천연재료의 인공 합성 (3) 이제까지 존재하지 않던 신재료의 발명. 또 재료혁명의 특색은 (1) 각 재료 간의 경합·대체의 격화 (2) 단위 투입 재고량이 절약된다는 점에 있다. 철과 알루미늄, 목재와 합성수지,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와 같이 경합 관계가 복잡해진다.

재무분석

편집

財務分析

부기계산에서 얻어지는 숫자 자료를 써서 동일 기업의 경영 내부, 또는 다수 기업의 경영 상호간에 비교 분석하고, 경영 재무의 적부를 비판하는 재무관리의 방법이다. 이것은 주로 은행 기타 금융업자가 기업에 자금을 대여하는 경우에 그 재무 내용의 어떠함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쓰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재무제표분석 혹은 신용분석이라고도 부른다.

재무분석은 그 비교분석에 쓰는 자료 여하에 따라 (1) 자본 구성의 분석, (2) 자산 구성의 분석, (3) 자본과 자산의 대비 분석, (4) 손익 분석 등으로 나뉜다.

재벌

편집

財閥

경제계에서 큰 세력을 가진 자본가·기업가의 무리 또는 가족 구성원이나 일가 친척으로 구성된 기업집단을 뜻한다. 재벌은 생산구조상 다각화를 통해 여러 시장에 걸친 많은 계열 기업을 산하에 소유하고 있으며, 외형상 독립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산하 기업 간에 자본소유 관계나 임원 겸임 따위를 통해 일관된 체제 아래 활동하는 기업군을 형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특히 재벌의 영향력이 막강한데, IMF사태 이후 빅딜, 해체 등 여러 가지로 위상에 변화 조짐이 보이고 있다.

재생산

편집

再生産

생산은 끊임없는 재생산 과정으로서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 재생산은 다음 두 가지로 나뉜다. 즉 재생산이 동등한 규모로 이루어질 경우 이것은 '단순 재생산'이라 하고 또한 확대된 형태로 재생산이 이루어질 때 '확대 재생산'이라 한다.

재정환시세

편집

裁定換時勢

어떤 나라가 각국에 대한 환시세를 세울 경우 먼저 국제통화의 중심이 되는 통화(미국 달러나 영국 파운드와 같은 세계 통화)에 대한 교환 비율을 정한다. 이 비율을 기준환 시세라 부름에 반하여 그 기준 시세에서 크로스 레이트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산정되는 제3국과의 환시세를 재정환시세라 한다.

재테크

편집

財tech

기업이 본래의 영업활동과는 상관없이 금융수익을 얻기 위해 벌이는 재무활동. 기업 자금의 조달 및 운용이 목적이다. 재무테크놀러지의 준말로서, 잉여자금으로 증권시장·외환시장에 참여하여 이자·배당금·유기증권 매매수익·외환차익 등으로 기업 수익을 올리는 활동이다. 재테크는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데, 뉴욕·런던·도쿄의 3시장은 거액의 머니 게임의 장(場)으로 유명하다. 최근에는 개인이 재산 증식을 위해 은행이나 주식, 부동산 등에 전문가적 안목을 갖고 투자하는 행위도 재테크로 간주하고 있다.

재할인율

편집

再割引率

중앙은행(한국은행)이 대출할 경우에 적용되는 금리를 가리킨다. 재할인율은 통화가치를 안정시키기 위해 취하는 금융 정책에 있어 중요한 무기이다. 즉 경기(景氣)가 과열하고, 인플레이션 염려가 있을 때 재할인율을 올리면 시중 금융기관의 금리는 상승, 기업은 자금에 대한 수요를 감소시킨다. 경기가 침체하고, 디플레이션 경향이 된 때에는 재할인율을 낮춤으로써 자금 수요를 환기시켜 이에 따라 경제활동이 활발하게 된다. 결국 시중의 통화량을 재할인율로 조절하고, 경기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재할인율의 변경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재할인율정책

편집

再割引率政策

재할인율정책은 중앙은행이 은행에 대한 대출의 양과 이자율을 조절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은행의 대출액을 조절하려는 정책으로, 금리정책이라고도 한다. 중앙은행의 대출은 전통적으로 재할인의 방식을 취하는데, 이 때의 이자율을 재할인율이라 한다.

재해보상

편집

災害補償

근로자의 근로 과정에서 발생한 사망·부상·질병 등의 재해에 대하여 고용자가 보상하는 제도이다. 우리나라 현행 근로기준법은 재해보상제도의 내용으로서 요양보상·휴업보상·장해보상·유족보상·장의비 등을 규정하고 있으며, 재해보상의 처리를 위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있다(근로기준법 제78조·제79조·제80조·제82조·제83조).

재화

편집

財貨

인간의 욕망을 만족시키는 물질·화폐 또는 유가물(有價物)을 말한다.

저개발국의 개발

편집

低開發國-開發

저개발국으로 불리는 동남 아시아·중근동·아프리카·중남미 각국은 1인당 소득수준도 낮고 산업구조도 1차산업에 의존하는 경향이 짙다. 따라서 경제 자립을 꾀하여 국내의 경제개발(특히 공업화)에 노력하고 있는데, 선진국측도 이러한 나라에 자금과 기술원조를 공여하여 그 경제개발을 돕고자 하고 있다. UN의 후진국 개발원조계획이나 미국의 Point Four 계획 영연방의 콜롬보 계획 및 OECD의 DAC가 이를 위해 활동한다.

저금리정책

편집

低金利政策

금리를 낮은 수준에 묶어 둠으로써 경기의 활발화를 촉진하려는 정책. 저금리정책은 예금 금리·장기 대출 금리·공사채 수익률의 인하 등으로 실시되어 기업에의 대출을 늘려 경기를 자극하거나 공채 발행에 있어서의 이자 부담을 가볍게 하여 국제적인 금리 수준과의 관련으로 기업의 국제경쟁력의 강화를 도모하는 경우에 시행한다.

저축성향

편집

貯蓄性向

소비성향의 이면(裏面)으로서 저축 성향이 생각된다. 즉, 소득 Y에서 소비 C를 공제한 잔액은 저축 S를 나타내고(Y=C+S), S/Y를 평균저축성향이라 한다.

적정외화 준비고

편집

適正外貨準備高

일국의 경제 발전에 있어서 외화를 다량으로 갖는 것만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유지하고 내외의 경기변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떤 수준의 적정한 외화를 필요로 한다. 이것을 적정외화 준비고라 한다. 그 산출의기준으로서 (1) 연간 수출액의 4분의 1 정도로 본다. (2) 외화 준비고에서 대외 채무의 저당처럼 되어 있는 쓰이지 않는 외화를 공제한다. (3) 수입 결제자금뿐만 아니라 단기 외자의 철수에 대비한다…등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전략산업

편집

戰略産業

경제 성장을 추진하는 중핵체(中核體)의 역할을 하는 산업 부문으로서, (1) 생산의 파급 효과가 크다, (2) 고용 흡수력이 크다, (3) 수출 확대에 공헌한다-등이 그 요건이다.

전방연쇄효과

편집

前方連鎖效果

한 산업의 발전이 그 산업과 연관된 여타 산업을 발전시키는 것. 즉, 원자재 산업이 기술혁신, 경영합리화 등을 통해 제품가격을 내리면 이를 중간 투입물로 사용하는 여러 산업들의 생산원가도 크게 절감되어, 산업전체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반면에 후방연쇄효과란 어떤 한 산업의 발전이 그 산업에 투입될 중간 투입재를 생산하는 산업의 발전을 유발하는 효과를 가리킨다. 예컨대 자동차공장은 부품산업 등에 후방효과를 가져온다.

전부효용

편집

全部效用

한계효용이 재(財)의 최후의 한 단위에 대한 효용을 문제 삼는 데에 대하여 소비량 전체에 대한 효용을 문제 삼았을 때, 이것을 전부효용이라 한다. 따라서 전부 효용은 항상 증가되지만 그 증가율(한계 효용)은 점차 적어지는 것이 보통이다. 효용곡선(效用曲線 ( 소비의 이론)을 그리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된다.

전자계산기

편집

電子計算機

컴퓨터(electronic computer). 전자의 힘으로 수치를 자동적으로 계산하는 고속 계산기(高速計算機). 전자회로는 진공관을 썼으나 현재는 다이오드나 트랜지스터 등 반도체가 쓰인다. 이로써 소형화되었으나 대량의 연산(演算)과 기억이 가능한데 이 경향은 IC(집적회로)의 등장으로 점점 발전하고 있다.

구조는 기능적으로 연산·제어·기억·입력·출력의 다섯 가지 장치로 구성되고, 근본적으로는 연산·조합·판별 등의 능력을 갖고 있다.

전자화폐

편집

電子貨幣

은행의 자신의 계좌에 있는 돈을 집접회로(IC)에 저장(충전), 각종 결제에 사용하는 것. 현찰이나 수표처럼 자기가 돈을 갖고 불특정다수의 가맹점에서 필요할 때 결제하는 것으로 선불카드나 직불카드와는 구별된다. 전자화폐는 은행이나 카드사 등 발행기관으로부터 자기명의의 예금계좌와 연결된 전자화폐를 발급받아 현금자동지급기에서 최고 10만원까지 충전할 수 있다.

전환주식

편집

轉換株式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할 경우에, 주주가 회사에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주식을 말한다. 우리 상법은 신주발행시와 회사설립시에 전환주식의 발행을 허용하고 있다(상법 제346조·제349조·제350조·제351조).

정보과학

편집

情報科學

전자계산기의 출현으로 이때까지는 생각지 못했던 과학이 나타났다. 정보과학도 그 하나이며 그것은 정보이론·정보현상·정보방식의 세 부분을 종합한 것이다. 그리고 이 측면에 사이버네틱스·정보이론·제어이론·바이오닉스를 가지고 있으며, 전자계산기로 조작된다.

정보혁명

편집

情報革命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그것을 처리하여 전달하는 방식은 전자계산기의 발달로 뚜렷이 오토메이션화(化)함과 동시에 크게 진보했다. 일반적으로 이것을 가리켜 정보혁명이라 한다.

정부단기증권

편집

政府短期證券

정부가 발행하는 채권인 국채 중, 상환 기한이 1년 이내인 것을 말한다. 외환을 구입할 자금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발행되는 외환자금증권, 농산물 구입 대금의 부족이 생길 경우에 발행하는 식량 증권, 일반 재정 자금의 일시적 부족이 생긴 경우에 발행하는 재무부 증권 등이 있다.

정부보증채

편집

政府保證債

채권 발행에 있어서 원금변제, 이자지불을 정부가 보증하는 것을 정부보증채라 한다. 예컨대 한전, 해운공사 및 각 보험회사, 특수법인이 발행하고 있는 채권이 이것이다. 인수함에 있어서는 증권회사 외에 은행도 인정하고 있는데 이 점이 사업체와 다르다.

정책금융

편집

政策金融

정부 금융기관이 특정의 정책적 목적을 가지고 실시하는 자금의 융통을 가리킨다. 정부의 활동 범위가 확정됨에 따라 정부가 스스로 금융 활동을 하거나 정부 금융 기관을 설치, 금융 활동을 하게 한다.

정크본드

편집

Junk Bond

신용도가 낮은 기업이 발행하는 채권이나 기업인수·합병(M&A)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 등을 광범위하게 지칭한다. 보통신용평가 기관이 매긴 등급이 BB이하인 기업이 발행한 채권을 말한다. 즉, 정크본드는 수익률은 높지만 신용도가 크게 취약한 채권이란 의미로 쓰인다.

정화준비

편집

正貨準備

발권 은행이 은행권 발행의 담보로서 보유하는 금화·금지금(金地金)·외화·금환(金換) 등을 가리켜 말한다. 또 그 밖의 확실하고 시장성(市場性)이 풍부한 자산을 가리켜 보증준비라 한다. 정화준비와 보증준비의 조성 방법에 따라 각종 발권제도가 발생한다.

제너럴 스트라이크

편집

general strike

독점 산업분야 또는 전 산업의 근로자가 전국적 규모로 일제히 돌입하는 스트라이크로 총파업이라고도 한다. 이는 모든 생산활동과 사회적 기능을 마비시켜 정부나 여당·지배계층에 커다란 위협을 준다.

제4차산업

편집

第四次産業

정보·지식 산업의 진전과 더불어 쓰이게 된 단어. 사회의 문화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정보·지식을 자본으로 한 기업을 제3차산업과 구별하여 제4차산업이라 한다. 미국에서는 이미 국민총생산의 3분의 1이 이 지식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제3차산업

편집

第三次産業

상업·운수·통신·금융·보험업·공무·자유업 기타의 서비스 산업을 말한다.

제안제도

편집

提案制度

종업원이 작업에 관한 일 등에 대하여 아이디어를 짜내어 제안하고 이에 대하여 보상이 베풀어지는 제도로서 그 목적은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창의적 연구 운동의 수단으로서, 기업은 이 제도를 통하여 종업원의 아이디어나 연구를 흡수하고 현장을 개선하여 생산성을 높이려고 한다. 일상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인간으로부터 공무부·생산관리부·기술부 등 스탭들이 생각하지 못한 훌륭한 아이디어가 제공되는 일이 많다.

또 하나의 목적은 이것을 경영 참가적 의미의 수단으로 삼아 기업은 현장 개선에 대해 종업원들의 의견을 채택, 아이디어가 채택되었다는 의식 및 감정을 그들로 하여금 갖게 해 주는 것이다. 대부분의 제안제도에서는 직장에 제안함이 설치된다. 종업원은 작업이나 직장 개선에 관한 제안을 소정 용지에 써서 그 속에 넣는다. 제안심사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어 여기서 제안의 심사, 채용의 결정, 보상의 결정이 이루어진다. 우리나라의 기업에서도 지적되어 있는 점은 제도의 시작단계에서는 제안 건수가 많으나 그런 동안 제안 건수가 적어지는 일이다. 제안제도에 대하여 종업원의 관심을 지속시키는 일이 이 제도의 운영상 큰 과제가 된다.

제2차산업

편집

第二次産業

광업·제조 공업·토목 건축업 및 전기·가스 공급업을 말한다.

제2차 산업혁명

편집

第二次産業革命

산업혁명이란 18세기 후반 증기 기관차의 발명으로 영국에서 일어난 산업상의 대변혁을 말한다. 그런데 최근 원자력·전자공업·오토메이션·석유 화학·합성 섬유 등을 중심으로 기술상의 대변혁을 보여, 그것은 산업혁명 이상의 기술혁명으로 간주할 수가 있다. 따라서 18세기 후반의 산업혁명을 제1차 산업혁명이라 부르고 최근의 기술혁명을 제2차 산업혁명이라 불러 구별하는 것이다.

제1차산업

편집

第一次産業

일국의 산업을 유별하여 제1차산업, 제2차산업, 제3차산업이라 할 때 제1차산업은 농업·임업·축산업·수산업을 말한다. 이것은 국민소득의 비교 연구의 진전, 산업구조의 분석 용구(用具)로서 편리하므로 다방면으로 쓰이고 있다. 이러한 분류는 콜린 클라크에 의하여 채용되었는데, 그에 의하면 자본주의 경제의 발전에 수반하여 제1차에서 제2차·제3차로, 차차 취업 인구의 분포 비중이 이동한다고 한다. 동시에 일인당 국민소득도 고차적 사업일수록 높아진다고 한다.

제조물책임법

편집

製造物責任法

제품이 갖추어야 할 안정성이 결여되어 소비자가 피해를 입었을 경우 제조업자가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것. 일반적으로 제품에 결함이 발생했을 때 수리·교환·환불은 제조업자의 기본의무이지만 제조물 책임은 제품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인적·물적·정신적 피해까지 제조업자가 부담하는 한 차원 높은 손해배상제도이다. 오는 2001년 시행될 예정이다.

제한물권

편집

制限物權

목적물을 한정된 목적을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물권을 말한다. 목적물을 전면적으로 지배하는 소유권과는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소유권에 대한 제한 위에 성립하고, 그 내용도 제한되는 물권이다. 이것은 용익물권(지상권·지역권·전세권 등)과 담보물권(유치권·질권·저당권 등)으로 나누어진다.

조직의 대위법칙

편집

組織-代位法則

각 기업에는 재료의 운반, 공구의 준비, 계산 사무, 일상의 판매활동과 같이 규칙적·반복적인 프로세스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 규제가 만들어지고 이 규제에 의하여 그러한 프로세스를 통괄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런데 한편에서는 예외적 문제도 발생하여 그 때마다 그것을 처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 조직의 대위법칙이란 기업의 경영 프로세스에서 경우마다의 규제가 점차로 일반적 규제로 대위(代位)되어 가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경영 프로세스가 점점 동일성·규칙성·단일성의 특징을 보인 반면 개성적 처리가 없어진다. 조직이 점점 비인간화하는 것이다. 조직의 대위법이란 조직의 합리화 프로세스에 작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근대 기업에서는 본래 예외적 처리를 해야 할 일까지도 일반적 규제에 위임하려는 경향도 보인다. 사이몬(1916∼, 미국의 경영학자)은 이 사태를 가리켜 '계획활동의 그레셤의 법칙'이라 부르고 있다.

종업원의 경영 참가

편집

從業員-經營參加

기업에 있어서 참가라고 할 경우에는 자본 참가·이윤 참가 등도 생각되지만 기업에 있어서의 각종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 대한 종원업의 참가가 의미하는 경우도 많다. 종업원의 보통, 의사 결정 기능에서 제외하며 다만 집행 활동만을 담당하고 있어 이로 인하여 소외감을 갖는 경우가 많았다.

종업원의 참가는 어느 레벨의 의사 결정에 참가하느냐, 의사 결정 프로세스의 어떠한 스탭에 참가하는냐에 의하여 내용이 상당히 달라진다. 그러나 두 가지 방식을 구별하는 일이 중요하다. 하나는 미국 기업에서 말하는 것으로, 휴먼릴레이션스의 견해에 따른, 상사의 리더십의 문제이다. 결국 상사가 사물을 결정할 때 독단전횡하는 일이 없이 부하도 토의나 결정에 참가시켜서 그들과 상담하여 결정한다.

이른바 '민주적 리더십'의 방식이다. 또 하나는 독일 기업에서 볼 수 있는 제도로서 종업원 내지 노동조합의 경영 참가가 법적으로 강제된다. 특히 1951년의 '공동 결정법'에서는 석탄업과 철강업의 대기업에 대해서는 기업의 톱레벨의 의사 결정에 종업원과 노동조합의 대표들이 소유자 측과 동등하게 참가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또 1952년의 '경영 구성법'에서는 참가의 정도는 낮아질지라도 전국적 규모에서 기업의 의사 결정에 대하여 종업원이 참가해야 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종합경제

편집

綜合經濟

다수의 개별경제가 상호 밀접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성립하는 총체로서의 경제조직을 말한다. 이와 같은 종합경제는 다수의 기업과 가계가 재화 및 용역의 생산·소비·교환 등 경제 활동을 통하여 서로 결부함으로써 성립한다. 실제로 이와 같은 관계가 성립하는 것은 한 나라의 국민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므로 종합경제는 국민경제로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이다.

종합수지

편집

綜合收支

일국의 국제수지는 어느 일정 기간에 있어서 여러 외국 사이의 모든 경제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그것은 크게 나누어 경상 거래와 자본 거래가 되는데 미국에서는 경상 거래를 계상한 경상 계정의 수지 결산에 장기 자본의 유출입을 더한 것을 기본수지라 한다. 이 기본수지에 금·단기 자본의 이동 및 오차(誤差)를 더한 것을 종합수지라 부른다.

주가지수

편집

株價指數

주가의 변동을 나타내기 위한 지표. 일정한 시기의 주가를 기준으로 하여 그 후의 변동을 100분비로 나타낸다.

주가지수 선물시장

편집

株價指數先物市場

장래의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매매하는 시장을 말하며 통상 주식시장의 증거금률보다 선물시장의 증거금률이 크게 낮아 투기적 성향이 강하다. 1996년 5월 3일 국내 최초로 개설된 주가지수 선물시장은 종합주가지수(KOSPI)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KOSPI 200'을 거래대상으로 한다.

주식

편집

株式

일반적으로 주식이라 하는 경우는 주권을 가리켜 말하지만 법률적으로는 주주권(株主權)을 의미한다. 즉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출자한 자본액수, 다시 말해서 권리의 비율을 표시한다. 주식회사에 있어서 출자자 자본은 주식화되고 이로써 주식회사는 자기자본을 고도로 집중시킬 수 있다.

주식공개

편집

株式公開

일부의 대주주에게 보유되어 있는 주식을 일반에게 개방하는 것을 주식공개라 한다. 동족 회사 또는 소수의 주주로 구성되어 있는 회사를 비공개 회사라 하며 그 주식을 비공개주라 한다. 그러나 이 회사의 기업 규모가 확대하면 증대한 자금 수요를 메꾸기 위하여 널리 일반 투자인으로부터 주주를 모으고, 자금을 모으지 않으면 안 된다. 따라서 대주주가 보유한 주식을 시장에 매출하거나 증자 신주를 공모한다. 이것을 주식의 공개라 하며 이렇게 하여 공개된 주식을 공개주라 한다.

주식배당

편집

株式配當

보통 주식 배당이라 할 경우는 주식에 대한 배당을 가리키는데 현금 배당 대신에 배당의 일부를 새로 발행하는 주식으로 행하는 것을 가리킬 경우도 있다.

주식분할·주식병합

편집

株式分割·株式倂合

무기명주의 경우 1주의 주가가 너무나 올라 있으면 대중 투자인으로서는 구입이 곤란하게 된다. 이것을 사기 쉽도록 하기 위해 1주를 몇 주로 나눌 경우가 있다. 이것을 주식 분할이라 한다. 이 반대로 여러 주를 1주로 묶는 것을 주식병합이라 한다.

주식의 청약

편집

株式-請約

모집 설립시나 신주발행시에 주식응모자가 발기인이나 이사에게 주식을 인수하여 주주가 되겠다고 발기인이나 이사에게 의사표시를 하는 행위를 말한다. 주식인수의 청약은 발기인 또는 이사가 작성한 주식 청약서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주식인수의 청약을 원하는 자는 이 주식청약서에 자기가 인수하려고 하는 주식의 수와 주소를 기재하고 기명날인 또는 서명을 하여 회사에 제출하여야 한다(상법 제302조·제420조 등).

주식 프리미엄

편집

株式 premium

액면 5,000원, 주가 10,000원이 된 경우처럼 주가가 액면 가액을 상회하고 있으면 그 초과분 5,000원을 주식 프리미엄이라고 한다. 또 신주를 발행할 때 발행 회사가 액면 이상으로 매출하면 발행 가격과 액면의 차이가 생기는데 그것도 주식 프리미엄이라 한다. 후자는 주식 발행차금이라고도 한다.

주식회사

편집

株式會社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단법인의 일종인데 순수하게 자본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유한책임회사이다. 합명회사·합자회사·유한회사 등은 어느 것이나 인적 결합에 중점을 둔 인적 공동기업인데, 주식회사는 물적 회사라든가 자본적 회사라 불리며 자본적 공동기업이다.

이 주식회사라는 기업 형태의 특징으로는 (1) 주식회사의 출자가 모두 균일한 주식으로 분할되어 있고, 그것을 표시한 주권으로 발행된다는 점, (2) 출자자인 주주의 책임이 유한한 점, (3) 출자와 경영이 분리되어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주식회사의 설립에는 주식 인수의 방법으로서 발기 설립과 모집 설립이 있다. 전자는 발기인이 설립에 즈음하여 발행하는 주식 총수 전부를 인수함으로써 회사를 설립하는 경우인데, 발기인 이외에는 전혀 주식의 인수 모집을 하지 않는 것으로 극히 간단한 방법이다.

준비예금제도

편집

準備預金制度

--> 준비예금 조작

준비자산

편집

準備資産

한 나라가 보유하는 국제 유동성을 구성하는 금 및 국제 통화국의 유동성이 높은 자산을 말한다. 국제 유동성 부족의 해결책으로서 프랑스의 CRU(複合準備單位), 일찍이 케인스가 제안한 바 있는 방코르 등 새로운 준비자산 창설이 제안되고 있다.

중간생산물

편집

中間生産物

철강업·기초화학공업·산업기계공업 등처럼 그 생산물이 주로 타산업의 원료·기계 그 밖의 중간재로서 팔리는 산업을 중간재 산업이라 하며 이것으로써 생산되는 것이 중간생산물이다. 중간재 산업은 일반적으로 생산재(원료나 재료)를 생산하고 최종재산업은 소비재를 생산한다. 그러나 기계 등의 투자를 최종 수요에 포함시켜서 이것을 중간재와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중개

편집

仲介

상법상 광의로 타인간의 법률행위를 중매하는 행위를 중개라 하는데, 기본적 상행위에 속한다. 상법상 중개는 중개업에서 유가증권의 매매·보험·해상운송 등과 주선업에서의 위탁매매업·준위탁매매업의 행위·운송 주선업, 그리고 대리상에서 중개대리의 행위 등을 들 수 있는데, 중개업에서의 중개를 좁은 의미에서 중개라 한다. 이런 중개를 영업으로 하는 자를 브로커라 하며, 또한 일정한 상인을 위하여 상업사용인이 아니면서 상시로 거래의 대리 또는 중개하는 것을 영업하는 자를 중개대리인이라 한다(상법 제93조).

중개무역

편집

仲介貿易

상품을 산 나라가 자국(自國)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제3국으로 해당 상품을 파는 것으로서 대금 결제의 당사국이 되고 그 사이의 중개 수수료를 받는 것을 목적으로 한 무역 방식을 말한다. 주로 자국에 유력한 상사(商社)를 갖지 못한 저개발국을 거래 상대국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중계무역

편집

中繼貿易

중간무역이라고도 하며 특정한 물자를 그대로의 형태이건 혹은 가공하여 다른 상품으로 하건 어떤 나라에서 구입하여 다른 나라에 판매함으로써 마진을 취득하는 무역 방법을 말한다.

중소기업단지

편집

中小企業團地

중소기업의 육성과 경쟁력을 복돋우기 위하여 공업단지로서 집합하여, 판매 그밖에 합리화 촉진을 도모하려는 것. 최근 쓰이는 언어로서 중소기업 진흥책의 한 가지이다.

중앙노사정협의회

편집

中央勞使政協議會

중앙노사정협의회는 국가의 산업·경제·사회정책과 관련된 노사관계·고용·근로복지 등 주요 노동문제를 협의하기 위하여 근로자 대표·사용자 대표·공익 대표 및 정부 대표로 구성된다. 중앙노사정협의회의 의장은 노동부장관으로 하되, 필요한 경우에는 노동자 대표·사용자 대표 및 공익 대표 각 1인을 공동의장으로 추가할 수 있다. 중앙노사정협의회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부문별로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다(근로자참여 및 협력증진에 관한 법률 제28조).

중앙은행

편집

中央銀行

일국의 금융 기구의 중심이 되는 은행으로서, 국민 경제적 관점에서 각종 금융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에 금융 당국이라고도 불린다. 한국은행이 곧 우리나라의 중앙 은행이다.

중앙은행에는 은행권 발행, 시중 금융기관에 있어서의 은행, 정부에 대한 대부, 국고금의 출납, 국채의 발행·상환을 하는 정부의 은행 따위의 주된 기능을 한다.

중진국

편집

中進國

선진국과 후진국의 중간이라는 뜻에서 중진국이라는 말이 쓰인다. 이 기준은 1인당 국민소득과 생활수준, 혹은 사회보장제도 면에서 판정하게 되는데 근대적인 대기업의 그늘에 전근대적인 중소 및 영세기업이 남아 있는 나라는 아직도 중진국이라 하겠다.

쥬글라파동(주순환)

편집

Juglar-波動(主循環)

약 9∼10년 주기의 경기순환으로 일찍부터 이 순환운동에 주목하여 오던 쥬글라의 이름을 따서 쥬글라의 파동이라 부른다. 쥬글라는 프랑스 및 영국의 경제변동을 분석하고 7∼8년 내지 11년의 주기성을 가진 파동을 중기 파동이라 지적하고 다시 그것을 대체로 40개월을 1주기로 하는 3개의 파동으로 분할했다. 이것은 투건 바라노프스키에 의하여 1900년대 재확인되었다. 경기변동을 주순환과 소순환으로 나누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에 쥬글라파동은 전자에 상당하고, 그것은 설비투자의 변동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일반적으로 생각되고 있다.

증권거래소

편집

證券去來所

조직적인 유가증권의 매매시장을 개설하고 운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법인을 증권거래소라 한다. 현재는 회원 조직을 취하고 있으며 증권업자 이외의 사람이 설립함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증권금융

편집

證券金融

증권에 얽힌 융자를 총칭하여 증권금융이라 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식 담보금융(신용 거래를 위한 융자 등, 증권회사를 대상으로 한 주식을 담보로 하는 금융), 공사채담보 금융(공사채=公社債를 담보로 하는 금융) 등이 있으며, 융자의 대상 및 목적에 대응하여 그 초점은 변하고 있다.

증서대부

편집

證書貸付

은행 등 금융기관이 대출할 때에 대부처로부터 차용증서를 징수하고 대부하는 방법을 말한다. 차용증서 작성의 경우, 담보 설정, 원리 지불방법은 자세히 규정된다. 장기대부, 예를 들면 설비자금의 대부 경우에 쓰인다.

지로

편집

Giro

예금계좌를 가지고 있는 사람끼리 은행을 매개로 지급을 가능하게 하는 금융제도이다. 우리나라의 지로제도는 일상 거래에서 발생하는 자금의 이전을 직접 현금이나 수표를 주고받는 대신, 은행의 예금계좌를 통해 결제한다. 지로번호를 부여받은 공공기관이나 기업은 은행 점포의 지로창구를 자기의 수납 및 지급창구로 이용할 수 있다. 이 제도는 각종 공과금이나 물품구입대금 등 이용 범위가 매우 넓다.

지방은행

편집

地方銀行

예금을 수입함으로써, 주로 단기 투융자를 하고 또 당좌예금 구좌를 통하여 예금 통화의 창조를 주된 업무로 하는 상업은행 중, 지방에 예금을 흡수하여 지방산업의 육성을 그 임무로 하는 은행을 말한다. 실질적으로는 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시중은행으로 변하고 있다.

지불준비

편집

支拂準備

시중 금융기관이 예금지불에 대비하여 항상 예금의 일정 비율의 현금 또는 이에 준하는 자금을 보유하는 일. 은행자금 중에서 예금지불을 위한 것을 지불 준비금이라 하고, 예금에 대한 지불준비금의 비율을 예금지불 준비율, 또는 현금지불 준비율이라 한다. 또 이와 같이 예금액과 일정 비율을 강제적으로 중앙은행에 예금시키는 제도를 지불 준비 제도라 한다. 또한 지불 준비율의 고저에 따라 대출과 예금량의 규제를 하는 정책을 지불 준비율 정책이라 한다. 미국에서는 지불 준비제도가 법제화 되어 있다.

지불준비율

편집

支拂準備率

시중 금융기관의 예금 중에서 지불 준비금으로서 중앙은행에 강제적으로 적립시키는 부분의 예금 총액에 대한 비율을 말한다. 지불준비율의 고저를 통하여 대출에 따른 대출량을 규제할 수가 있어 중앙은행의 금융정책으로서 효과적인 것이다.

지수

편집

指數

'인덱스 넘버'라 말하는 것이 이것이다. 비교 기준이 되는 수치를 100으로 한 경우, 문제되는 수치는 얼마가 되는지를 계산하여 시간적 변화나 상호 비교를 보는 것이다. 쌀의 수확고 지수 등은 개별 지수라 하여 한 종류의 수량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며, 물가지수·생산지수·임금지수·주가지수 등은 종합지수라 하여 많은 종류의 수량 변화를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지수화방식

편집

指數化方式

생산자곡가 산정 방식의 새로운 방법. 생산비와 생산자의 소득과 관계있는 경제지표(물가·임금·노동시간)의 변화율을 가지고 생산자 곡가를 수정하여 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패리티 방식과 다른 점은 기초가 되는 전년도 곡가가 생산비·소득보상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Gross National Income

국민총소득. 생산활동을 통해 획득한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반영하는 소득지표로 국내총소득(GDI)에다 국외에서 순수하게 벌어들인 소득을 더하면 된다. 경제여건의 변화로 생산을 통해 벌어들인 소득의 구매력도 급변하므로 한 나라의 경제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생산측면뿐만 아니라 교역조건을 감안한 구매력도 따로 산정해야 한다는 차원에서 도입됐다.

GNP 디플레이터

편집

명목 GNP(국민총생산)를 실질 GNP로 나누어 얻어지는 값. 국민소득에 영향을 주는 모든 물가요인, 즉 도매·소비자 물가지수뿐만 아니라 환율·임금지수까지도 포함하는 종합적인 물가지수로서 GNP를 상품으로 보았을 경우 그 가격을 나타낸다.

지역개발

편집

地域開發

미국의 뉴딜 정책에서의 TVA계획에서 나온 말. 본래는 공공투자로써 계획적 공업화를 이루어 지역 주민의 복지 향상을 꾀한 것이며 국비(國費)나 지방 재정을 투입하여 자본 진출의 기반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특혜

편집

地域特惠

--> 기존특혜

지역협력기구

편집

地域協力機構

특정지역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협력해서 경제개발이나 경제발전을 꾀하려는 기구. 이를 위해 역내관세나 무역제한의 완화 내지 철폐, 공통관세 설정, 자본과 노동의 이동 자유화 및 경제·사회정책의 통일적인 운영 등 폭넓은 협력이 이루어진다. 가장 굳게 결속된 것은 EC로 각국 경제발전에 기여했다.

이 밖에 EFTA, 공산권의 코메콘 등이 있는데 참기구의 경제구조나 수준의 차이로 성과는 각양각색으로 나타나고 있다.

지정예금

편집

指定預金

금융의 조절을 꾀하기 위하여 시중 금융기관에 예입되는 정부 자금. 흔히 정부 자금은 중앙은행에 예금되어 있으나, 금융이 긴축되어 있고, 정부 자금에 여유가 있을 경우에는 그 완화를 목적으로 정부 자금이 시중 금융기관의 예금으로 되돌아온다. 또 기업구제자금을 제공할 경우에도, 지정 예금이 이루어진다.

지정통화

편집

指定通貨

환 관리상의 대외 거래의 결제에 사용이 인정된 통화.

지주회사

편집

持株會社

광의로는 타회사에의 자목참가를 목적으로 하는 회사인 참가회사를 의미한다. 반면 협의로는 주식의 소유를 통하여 국내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하는 것이 주된 업무인 회사를 말한다(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법률 제8조제1항). 지주회사는 주식회사제도의 존재를 전제로 하여 타회사의 주식을 취득·보유하여 그 회사를 지배하는 한편 그 피지배회사가 다시 다른 회사의 주식을 취득·보유하여 그 회사를 지배하는 형식으로 기업을 독점적으로 지배하려는 것이다.

지지가격

편집

支持價格

농산물에는 가격지지제도(價格支持制度)라는 것이 있어서 농산물이 과잉이 되어 가격이 하락하는 경우에는 안정정책으로 정부가 매입하거나 융자를 해준다.

이렇게 하여 일정한 가격을 유지하려는 것이며 이와 같이 안정된 수준이 되는 가격을 지지가격이라 한다.

지출국민소득

편집

支出國民所得

지출 면에서 포착한 국민소득. 생산되고, 분배한 소득은 소비와 저축으로 나누어지는데, 저축된 소득은 설비나 재고품의 구입 등 투자에 전용된다. 따라서 지출국민소득은 소비 및 저축=투자 면에서 포착한 국미소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출국민소득은 민간 및 정부의 재화 및 서비스의 소비액, 그 투자액 및 대외 채권의 증가액의 3가지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지출국민소득에 감가상각비 및 간접세를 보탠 것이 국민총지출이 된다.

지출의 탄력성

편집

支出-彈力性

'수요의 탄력성'과 같이 가격의 변화에 대한 지출의 변화를 재는 것이며 가격이 변화한 경우에 지출량이 뚜렷이 변화하는 경우는 지출의 탄력성이 높다고 하거나 또는 지출이 탄력적이라고 한다.

직무급

편집

職務給

작업에 대하여 지불되는 임금을 말하는데, 엄밀하게는 어떤 학력·연령·근속의 사람이건 그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같은 임금이 부여된다. 따라서 직무급은 속인급(屬人給)의 반대되는 것으로 동일 노동, 동일 임금의 원칙에 서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의 임률(賃率)을 정하는 일이 포인트가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직무 분석을 하고 직무 평가를 한다. 덧붙여 말하면 직무급에는 단일 직무급과 범위 직무급이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직급별로 단 하나의 임률만이 설정되어 개인의 능력차·숙련차 등이 전혀 반영되지 않음에 대하여 후자의 경우는 동일 직급의 임금에 대하여 일정한 폭을 설정하고 그 범위에 있어서 승급을 인정하도록 하고 있다.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편집

職務記述書·職務明細書

개개의 직무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직무의 성격·대요(大要)·수행 조건 등을 일람표에 나타낸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이 기재된다. 즉 직무명·직무 분류 번호·부과명(部課名)·직무의 개괄적인 설명·담당자의 자격 등이다. 직무기술서보다도 직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상세한 기술하는 것이 직무명세서로서, 직무명·직무 분류 번호·부과명·직무 개요를 기재한 후에 작업 조건·작업 환경, 담당자에게 요구되는 학력·교육 정도·경험·기능·연령·신체적 조건·성격 등을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직무기술서 및 직무명세서는 직무 분석이나 작업 연구 등을 기본으로 작성되는데 근대적인 관리 체제를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가 되어야 할 것이다. 직무의 명확화, 작업 본위의 임금 지불, 적재적소의 배치, 유효한 교육훈련 등을 위해서는 직무기술서나 직무명세서가 큰 구실을 한다고 할 수 있겠다.

직영점방식

편집

直營店方式

메이커가 대리점을 두지 않고 직접 판매 활동을 하는 방식. 유통혁명시대의 새로운 형태로서 나타났다. 메이커는 전국 각지에 판매소를 설치하고, 자기 사의 세일즈맨을 배치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한다. 이것은 대리점 방식보다도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대금 회수가 확실하다. (2) 소비자의 요망이나 수요 경향 등을 정확하게 파악한다. (3) 애프터 서비스가 철저하다. 기업이 이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소비 구조의 변화가 보이게 되었다.

직장폐쇄

편집

職場閉鎖

노사갈등을 겪는 고용주가 최후 수단으로 노동자들이 작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작업장의 문을 닫는 행위이다. 고용주는 노동자들과 작업 또는 임금에 대한 일부 특정 조건에 합의하기 위해 작업중지 또는 임금지불중지라는 경제적 무기를 사용한다. 직장폐쇄는 노동쟁의에서 사용되는 경제적 무기라는 점에서 파업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파업은 노동자들이 고용주에게 어떤 요구를 강요하는 작업중지라는 점에서 직장폐쇄와 다르다.

직접금융

편집

直接金融

개인 투자인이 발행 회사의 자금조달에 직접 참가하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개인 투자인이 발행시장에서 새로 발행되는 주식이나 채권을 사는 일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에만 자금이 회사로 직접 들어가게 되기 때문이다. 유통시장(매매 시장)에서 증권을 샀어도 그 대금은 바이어에서 세일러로 옮길 뿐, 발행회사로 자금이 들어온 것은 아니다. 한편 개인 투자인이 금융 기관에 예저금을 하고 금융 기관이 이 자금으로 대부하거나 발행하는 주식을 사서 기업에 투자하는 경우를 간접 금융이라 한다. 그것은 개인투자가 측에서 보면 금융기관이란 매개물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기업에 투자하고 있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직접투자

편집

直接投資

해외(대외)투자 중 외국에 있어서의 기업 경영에 자금을 투입하여 경영에 참가하기 위해 행하는 투자. 새로운 기술이나 관리 방법이 도입되므로 능률이 오르는 장점이 있으나 외국 자본에 지배되는 불안감과 국민에 대한 압박감을 주는 행동을 취할 경우가 많으므로 내셔널리즘이 강한 나라에서는 큰 반감을 사는 일이 많다. 이것을 회피하는 방법으로서, 합작회사란 형태를 채택한다.

진보를 위한 동맹

편집

進步-同盟

1961년 케네디 대통령의 제창으로 발족한 중남미의 새로운 10개년 원조계획. 이 계획의 골자는 미국을 중심으로 자유진영이 10년간에 최저 2백억 달러 원조를 공여하는 대신 중남미 각국은 원조 수용태세를 확립하기 위해 장기 개발계획의 작성·토지개혁·세제개정·교육제도 개선 등을 포함한 민주화, 빈곤 추방에 노력한다는 것이다.

집적의 이익

편집

集積-利益

어떤 지역에 산업이나 인구가 집중하면 서로가 분업(分業)되거나 노동력 및 소비의 시장이 이루어지며 또한 도로 등의 시설도 마련되고 투자 효율·생활 효율이 좋아진다. 반대로 이러한 것이 분산해 있으면 시설 같은 것도 이뤄지지 않는다. 이는 도시집중의 이점이긴 하나 이것이 지나치면 과밀(過密)로 인한 불이익이 된다. 한편 대공장에서 대량생산을 하거나 슈퍼마켓에서 대량판매를 하면 그만큼 코스트가 낮아져서 생산이나 유통의 효과를 올릴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중소기업이나 영세 소매점에서는 판매량이 적기 때문에 이익도 별로 올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생산·유통을 통하여 1단위당의 경비를 절감하여 이익 효과를 올릴 때 집적 이익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