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국사 (7차 교육과정)/부록
역대 연호
편집국명 | 연호 | 왕명 | 기간 |
---|---|---|---|
고구려 | 영락(永樂) | 광개토 대왕(廣開土大王) | 391~412 |
건흥(建興) | ? | ? | |
신라 | 건원(建元) | 법흥왕(法興王) | 536~550 |
개국(開國) | 진흥왕(眞興王) | 551~567 | |
대창(大昌) | 진흥왕(眞興王) | 568~571 | |
홍제(鴻濟) | 진흥왕(眞興王) | 572~583 | |
건복(建福) | 진평왕(眞平王) | 584~633 | |
인평(仁平) | 선덕 여왕(善德女王) | 634~647 | |
태화(太和) | 진덕 여왕(眞德女王) | 647~650 | |
발해 | 천통(天統) | 고왕(高王) | 699~719 |
인안(仁安) | 무왕(武王) | 719~737 | |
대흥(大興) | 문왕(文王) | 737~793 | |
중흥(中興) | 성왕(成王) | 794~795 | |
정력(正曆) | 강왕(康王) | 795~809 | |
영덕(永德) | 정왕(定王) | 809~813 | |
주작(朱雀) | 희왕(僖王) | 813~818 | |
태시(太始) | 간왕(簡王) | 818 | |
건흥(建興) | 선왕(宣王) | 818~830 | |
함화(咸和) | 이진(彝震) | 830~858 | |
마진 | 무태(武泰) | 궁예(弓裔) | 904~905 |
성책(聖冊) | 궁예(弓裔) | 905~910 | |
태봉 | 수덕만세(水德萬歲) | 궁예(弓裔) | 911~913 |
정개(政開) | 궁예(弓裔) | 914~917 | |
고려 | 천수(天授) | 태조(太祖) | 918~933 |
광덕(光德) | 광종(光宗) | 950~951 | |
준풍(峻豊) | 광종(光宗) | 960~963 | |
대위 | 천개(天開) | 묘청(妙淸) | 1135 |
조선 | 건양(建陽) | 고종(高宗) | 1896~1897 |
대한제국 | 광무(光武) | 고종(高宗) | 1897~1907 |
융희(隆熙) | 순종(純宗) | 1907~1910 |
〈자료: 한국 민족 대백과 사전〉
봉작 및 관직표
편집고려 시대의 봉작 및 관직표(충선왕 즉위년, 1298)
편집품계 / 구분 |
정1품 | 종1품 | 정2품 | 종2품 | 정3품 | 종3품 | 정4품 | 종4품 | 정5품 | 종5품 | 정6품 | 종6품 | 정7품 | 종7품 | 정8품 | 종8품 | 정9품 | 종9품 | |
---|---|---|---|---|---|---|---|---|---|---|---|---|---|---|---|---|---|---|---|
봉작 | 문반 | 숭록대부 | 흥록대부 | 정봉대부 | 정의대부 | 통의대부 | 대중대부 | 중대부 | 중산대부 조의대부 |
조청대부 조산대부 |
조의랑 승의랑 |
봉의랑 통직랑 |
조청랑 선덕랑 |
선의랑 조산랑 |
급사랑 징사랑 |
승봉랑 승무랑 |
유림랑 등사랑 |
문림랑 장사랑 | |
무반 | 표기대장군 | 보국대장군 | 진국대장군 | 관국대장군 | 운마대장군 | 중무장군 장무장군 |
선위장군 명위장군 |
정원장군 영원장군 |
유기장군 유격장군 |
요무장군 요무부위 |
진위교위 진무부위 |
치과교위 치과부의 |
익위교위 익마부의 |
선절교위 선절부의 |
어모교위 어모부위 |
인용교위 인용부위 |
배융교위 배융부위 | ||
관직표 | 중서문하성 | 문하시중 중서령 |
평장사 | 정당문학 참지정사 |
상시 | 작문하 | 간의대부 | 급사중 중서사인 |
기거주 기거랑 |
보궐 | 습유 | 문하록사 중서주서 |
|||||||
상서도성 | 상서령 | 복야 | 지성사 | 승 | 낭중 | 원외랑 | 도사 | ||||||||||||
상서 6부 | (판사) | 상서 | 지부사 | 시랑 | 낭중 | 원외랑 | |||||||||||||
어사대 | 판사, 대부 | 지사, 중승 | 잡단시어사 | 전중시어사 | 감찰어사 | ||||||||||||||
한림원 | (판원사) | 학사승지 | 학사 | 시독학사 시강학사 |
직원 | 의관 | |||||||||||||
춘추관 | (감수국사) | (수국사) | (동수국사) | (수찬관) | (직사관) | ||||||||||||||
국자감 | (제거) | (판사) | 제주 | 사업 | 승 | 국자박사 | 주부 | 학정, 학록 | 학유, 직학 |
조선 시대의 봉작 및 주요 관직표
편집품계 / 구분 |
정1품 | 종1품 | 정2품 | 종2품 | 정3품 | 종3품 | 정4품 | 종4품 | 정5품 | 종5품 | 정6품 | 종6품 | 정7품 | 종7품 | 정8품 | 종8품 | 정9품 | 종9품 | |
---|---|---|---|---|---|---|---|---|---|---|---|---|---|---|---|---|---|---|---|
봉작 | 내명부 | 빈 | 귀인 | 소의 | 숙의 | 소용 | 숙용 | 소원 | 숙원 | 상궁, 상의 | 상복, 상식 | 상침, 상공 | 상정, 상기 | 전빈, 전의 | 전설, 전제 | 전찬, 전식 | 전등, 전채 | 주궁, 주상 | 주치, 주우 |
종친 | 현록대부 홍록대부 |
소덕대부 가덕대부 |
숭헌대부 승헌대부 |
중의대부 정의대부 |
명선대부 창선대부 |
보신대부 자신대부 |
선휘대부 광휘대부 |
봉성대부 광성대부 |
통직장 병직장 |
근절랑 신절랑 |
집순랑 종순랑 |
||||||||
종친처 | 부부인 | 군부인 | 현부인 | 현부인 | 신부인 | 신인 | 혜인 | 혜인 | 온인 | 온인 | 순인 | ||||||||
문관 | 대광보국숭록대부 보국숭록대부 |
숭록대부 숭정대부 |
정헌대부 자헌대부 |
가의대부 가선대부 |
통정대부 통훈대부 |
중직대부 중훈대부 |
봉정대부 봉열대부 |
조산대부 조봉대부 |
통덕랑 통선랑 |
봉직랑 봉훈랑 |
승의랑 승훈랑 |
선교랑 선무랑 |
무공랑 | 계공랑 | 통사랑 | 승사랑 | 종사랑 | 장사랑 | |
문관처 | 정경부인 | 정경부인 | 정부인 | 정부인 | 숙부인 | 숙인 | 영인 | 영인 | 공인 | 공인 | 선인 | 선인 | 안인 | 안인 | 단인 | 단인 | 유인 | 유인 | |
무관 | 숭록대부 | 숭록대부 숭정대부 |
정헌대부 자헌대부 |
가의대부 가선대부 |
절충장군 어모장군 |
건공장군 보공장군 |
진위장군 소위장군 |
정략장군 선략장군 |
의충위 의교위 |
현신교위 창신교위 |
돈용교위 진용교위 |
여절교위 병절교위 |
적순부위 | 분순부위 | 승의부위 | 수의부의 | 효력부의 | 전력부위 | |
무관처 | 정경부인 | 정경부인 | 정부인 | 정부인 | 숙부인 | 숙인 | 영인 | 영인 | 공인 | 공인 | 선인 | 선인 | 안인 | 안인 | 단인 | 단인 | 유인 | 유인 | |
관직 | 의정부 | 영의정 좌우의정 |
좌우찬성 | 좌우참찬 | 사인 | 검상 | 사록 | ||||||||||||
6조 | 판서 | 참판 | 참의, 참지(병조) | 정랑 | 좌랑 | 별제 | |||||||||||||
승정원 | 승지 | 주서 | |||||||||||||||||
의금부 | (판사) | (지사) | (동지사) | 경력 | 도사 | ||||||||||||||
한성부 | 판윤 | 좌우윤 | 서윤 | 판관 | 참군 | ||||||||||||||
사헌부 | 대사헌 | 집의 | 장령 | 지평 | 감찰 | ||||||||||||||
사간원 | 대사간 | 사간 | 헌납 | 정언 | |||||||||||||||
홍문관 | (영사) | (대제학) | (제학) | 부제학 직제학 |
전한 | 응교 | 부응교 | 교리 | 부교리 | 수찬 | 부수찬 | 박사 | 저작 | 정자 | |||||
성균관 | (지사) | (동지사) | 대사성 | 사성 | 사예 | 직강 | 전적 | 박사 | 학정 | 학록 | 학유 | ||||||||
춘추관 | (영사) | (지사) | (동지사) | (수찬관) | (편수관) | (편수관) | (편수관) | (기주관) | (기주관) | (기사관) | (기사관) | (기사관) | (기사관) | (기사관) | (기사관) | ||||
군기시 | 정 | 부정 | 첨정 | 별좌 | 판관 | 별제 | 주부 | 직장 | 봉사 | 부봉사 | 참봉 | ||||||||
관상감 | (영사) | 정 | 부정 | 첨정 | 판관 | 교수, 주부 | 직장 | 봉사 | 부봉사 | 참봉 | |||||||||
사역원 | 정 | 부정 | 첨정 | 판관 | 교수, 주부 | 직장 | 봉사 | 훈도 | 참봉 | ||||||||||
경연 | (영사) | (지사) | (동지사) | (참찬관) | (시감관) | (시독관) | (검토관) | (사경) | (설경) | (전경) | |||||||||
세자시강원 | (사) | (이사) | (빈객) | (부빈객) | (보덕) | (필선) | (문학) | (사서) | (설서) | ||||||||||
내수사 | 전수 | 별좌 | 별제 | 별제 | 전회 | 전곡 | 전화 | ||||||||||||
장원서 | 장원 | 별제 | |||||||||||||||||
내시부 | 상선 | 상다 | 상약 | 상전 | 상책 | 상호 | 상노 | 상세 | 상촉 | 상원 | 상설 | 상세 | 상문 | 상변 | 상원 | ||||
외관 | 관찰사 | 목사, 대도호부사 | 도호부사 | 군수 | 도사, 현령 | 현감, 교수 | 훈도역슴 | ||||||||||||
훈련원 | (지사) | 도정 | 부정 | 첨정 | 판관 | 주부 | 참군 | 봉사 | |||||||||||
5위 | 장 | 상호군 | 대호군 | 호군 | 부호군 | 사직 | 부사직 | 사과 | 부사과 | 사정 | 부사정 | 사맹 | 부사맹 | 사용 | 부사용 | ||||
지방군관 | 병사 | 수사 | 절제사 | 우후 | 첨절제사만호 | 절제도위 |
60 간지와 시간, 방위 표시
편집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갑자(甲子) | 을축(乙丑) | 병인(丙寅) | 정묘(丁卯) | 무진(戊辰) | 기사(己巳) | 경오(庚午) | 신미(辛未) | 임신(壬申) | 계유(癸酉)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갑술(甲戌) | 을해(乙亥) | 병자(丙子) | 정축(丁丑) | 무인(戊寅) | 기묘(己卯) | 경진(庚辰) | 신사(辛巳) | 임오(壬午) | 계미(癸未)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갑신(甲申) | 을유(乙酉) | 병술(丙戌) | 정해(丁亥) | 무자(戊子) | 기축(己丑) | 경인(庚寅) | 신묘(辛卯) | 임진(壬辰) | 계사(癸巳)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갑오(甲午) | 을미(乙未) | 병신(丙申) | 정유(丁酉) | 무술(戊戌) | 기해(己亥) | 경자(庚子) | 신축(辛丑) | 임인(壬寅) | 계묘(癸卯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갑진(甲辰) | 을사(乙巳) | 병오(丙午) | 정미(丁未) | 무신(戊申) | 기유(己酉) | 경술(庚戌) | 신해(辛亥) | 임자(壬子) | 계축(癸丑)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갑인(甲寅) | 을묘(乙卯) | 병진(丙辰) | 정사(丁巳) | 무오(戊午) | 기미(己未) | 경신(庚申) | 신유(辛酉) | 임술(壬戌) | 계해(癸亥) |
고고학 용어
편집
개정 용어 개정 이전 용어 ㄱ편집가는고리 세환(細環) 가락바퀴 방추차(紡錘車) 가래 초(鍬) 가족 무덤(家族—) 가족묘(家族墓) 가지무늬 토기(—土器) 채문 토기(彩文土器) 간석기(—石器) 마제 석기(磨製石器) 간접떼기(間接—) 간접 타격법(間接打擊法) 갈판 연석(碾石) 거북등무늬 귀갑문(龜甲文) 거울 경(鏡) 거친무늬 거울 조문경(粗文鏡) 거푸집 용범(鎔范) 검은 간토기(—土器) 흑도(黑陶) 겹고리무늬 동심원문(同心圓文) 겹아가리 이중 구연(二重口緣) 고리칼 환두도(環頭刀) 고인돌 지석묘(支石墓) 골아가리토기(—土器) 구순 각목 토기(口脣刻目土器) 공이 고석(敲石) 관 장식(冠裝飾) 관식(冠飾) 관테(冠—) 대륜(臺輪) 구덩무덤 토장묘(土葬墓) 구덩식(—式) 수혈식(竪穴式) 구덩이 토광(土壙) 국자 작두(勺斗) 굴대투겁 거축두(車軸頭) 굴식(—式) 횡혈식(橫穴式) 굵은금무늬 태선문(太線文) 굽구멍 투공(透孔) 굽다리접시 고배(高杯) 굽혀묻기 굴장(屈葬) 귀얄질 찰과법(擦過法) 그릇받침 기대(器臺) 그릇테 구(釦) 그물추(—錘) 어망추(漁網錘) 긁개 소기(搔器) 기둥 구멍 주공(柱孔)/주혈(柱穴) 깃무늬 우상문(羽狀文) 깐돌 부석(敷石) 꼰무늬 낙승문(絡繩紋) 끝 장식(—裝飾) 단 금구(端金具) |
개정 용어 개정 이전 용어 ㄴ편집낚싯바늘 조침(釣針) 납작바닥 평저(平底) 낫 겸(鎌) 널길 연도(羨道) 널못 관정(棺釘) 널무덤 토광묘(土壙墓) 널문 연문(羨門) 널받침 관대(棺臺) 널방(—房) 현실(玄室) 널장식(—裝飾) 관 금구(棺金具) 네모도끼 사각 석부(四角石斧) 눌러찍기 압날법(押捺法) 눌러떼기 가압 박리(加壓剝離) 눕혀묻기 앙와장(仰臥葬) ㄷ편집다듬기 조정(調整) 달개 영락(瓔珞) 대롱옥(—玉) 관옥(管玉) 덧널 곽(槨) 덧널무덤 목곽묘(木槨墓) 덧띠 토기(—土器) 점토대 토기(粘土帶土器) 덧무늬 토기(—土器) 태선 융기문 토기(太線隆起文土器) 덩이쇠 철정(鐵鋌) 도끼 부(斧) 도장무늬 토기(圖章—土器) 인화문 토기(印花文土器) 독무덤 옹관묘(甕棺墓) 돋새김 양각(陽刻) 돋을띠무늬 돌대문(突帶紋) 돋을무늬 세선 융기문(細線隆起文) 돌날격지 석인 석편(石刃石片) 돌날몸통 돌날핵(—核) 돌널무덤 석관묘(石棺墓) 돌덧널무덤 석곽분(石槨墳) 돌무지 적석(積石) 돌무지덧널무덤 적석 목곽분(積石木槨墳) 돌무지무덤 적석총(積石塚) 돌방무덤(—房—) 석실분(石室墳) 돌짐승 석수(石獸) 두벌묻기 세골장(洗骨葬) 둘레돌 호석(護石)/열석(列石) |
개정 용어 개정 이전 용어 둥근바닥 원저(圓底)/환저(丸底) 뒤지개 굴봉(掘棒) 드리개 계식(繫飾)/수식(垂飾) 떼기 박리(剝離) 뗀석기(—石器) 타제 석기(打製石器) 뚜껑돌 개석(蓋石) 뚜껑접시 개배(蓋杯) 뚜껑 항아리(—缸—) 개부호(蓋付壺) 띠꾸미개 과판(銙板) 띠드리개 요패(腰佩) 띠무늬 대문(帶文) ㅁ편집마름모 석기(—石器) 능형기(菱形器) 마름쇠 여철(藜鐵) 막음돌 폐색석(閉塞石) 막음벽돌(—甓—) 폐색전(閉塞塼) 말갖춤 마구(馬具) 말머리꾸미개 마면(馬面) 말방울 마령(馬鈴) 말 토기(—土器) 마형 토기(馬形土器) 머리고임 두침(頭枕) 멍에 거형(車衡) 모루떼기 대석 기법(臺石技法) 모룻돌 대석(臺石)/받침돌 모줄임 천장 말각 조정식 천정(抹角藻井式天井) 목 경(頸) 목항아리(—缸—) 장경호(長頸壺) 몸돌 석핵(石核) 몸통 동부(胴部)/동체(胴體) 무지개무늬 반동심원문(半同心圓文)/중호문(重弧文) 문고리 비환(扉鐶) 문살무늬 격자문(格子文) 물결무늬 파상문(波狀文) 물레 도차(陶車) 물리개 옥선(玉蟬) 민고리자루 소환두(素鐶頭) 민무늬 토기(—土器) 무문 토기(無文土器) 밀개 삭기(削器) ㅂ편집바늘 침(針)
|
개정 용어 개정 이전 용어 바위그림 암각화(巖刻畵) 바퀴날 도끼 환상 석부(環狀石斧) 바탕흙 태토(胎土) 반달 돌칼 반월형 석도(半月形石刀) 반달 석기(半—石器) 반월형 석기(半月形石器) 받침돌 지석(支石) 받침모루 내박자(內拍子) 발걸이 등자(鐙子) 방울잔 영부배(鈴付杯) 번개무늬 뇌문(雷文) 벼루 연(硯) 벽돌무덤(甓—) 전축분(塼築墳) 보습 여선(犁先) 부싯돌 수석(燧石) 북옥(—玉) 고옥(鼓玉) 붉은 간토기(—土器) 홍도(紅陶) 비녀 잠(簪) 빗금무늬 단사선문(短斜線紋) 빗살무늬 토기(—土器) 즐문 토기(櫛文土器) 뼈단지 골호(骨壺) 뼈 연장 골기(骨器) 뿔 연장 각기(角器) 뿔잔(—盞) 각배(角杯) ㅅ편집상돌(床—) 상석(床石) 새김무늬 각문(刻文) 생선뼈무늬(生鮮—) 어골문(魚骨文) 선돌 입석(立石) 세고리자루 삼환두(三鐶頭) 세발솥 정(鼎) 세발 토기(—土器) 삼족 토기(三足土器) 세잎고리자루 삼엽환두(三葉鐶頭) 손톱무늬 조문(爪文) 송곳 추(錐) 솥 부(釜) 쇠뇌 노(弩) 수레 토기(—土器) 차형 토기(車形土器) 숟가락 시(匙) 슴베 경부(莖部) 신발 이(履) 쐐기 설(楔) |
개정 용어 개정 이전 용어 ㅇ편집아가리 구연부(口緣部) 안장(鞍裝) 마안(馬鞍) 안장꾸미개(鞍裝—) 마안 금구(馬鞍金具) 양각(陽角) 박리각(剝離角) 엇갈림떼기 교호 박리(交互剝離) 여러널식(—式) 다곽식(多槨式) 옆방(—房) 익실(翼室) 예새 목도(木刀) 오리 토기(—土器) 압형 토기(鴨形土器) 외널식(—式) 단곽식(單槨式) 움집 터 수혈 주거지(竪穴住居址) 이른 민무늬 토기(—土器) 원시 무문 토기(原始無文土器) 이맛돌 미석(楣石) 이음낚시 결합 조침(結合釣針) 입술 구순(口脣) 입큰바리 광구발(廣口鉢)/광구완(廣口盌) ㅈ편집자라병(—甁) 편병(扁甁) 자루솥 초두(鐎斗) 작살 섬(銛) 잔무늬 거울 세문경(細文鏡) 잔 석기(—石器) 세석기(細石器) 장군 부(缶) 재갈 마함(馬銜) 재갈멈치 경판(鏡板) 쟁기 여(犁) 저장 구덩 저장혈(貯藏穴) 조개더미 패총(貝塚) 주먹대패 대패형 긁개(—形—) |
개정 용어 개정 이전 용어 짐승 토기(—土器) 동물형 토기(動物形土器) 집터 주거지(住居址) 집토기(—土器) 가형 토기(家形土器) 찍개 단면기(單面器) ㅊ편집천장돌(天障—) 천장석(天障石) 청동 거울 동경(銅鏡) 칠무늬 토기(漆—土器) 채문 토기(彩文土器)/채색 토기(彩色土器) ㅌ편집타래무늬 나선문(螺旋文) 테쌓기 윤적법(輪積法)/적륜법(積輪法) 톱니날 도끼 다두 석부(多頭石斧) 톱니무늬 거치문(鋸齒文) 투구 주(胄) ㅍ편집팔맷돌 사냥돌 팔찌 천(釧) 팽이 토기(—土器) 각형 토기(角形土器) ㅎ편집허리띠 과대(銙帶) 홈자귀 유구 석부(有溝石斧) 화덕 자리 노지(爐址) 활무늬 호선문(弧線文)
|
현재 지명의 옛 명칭
편집
현재 이름 옛 이름 및 소재지 ㄱ편집가평(加平) 근평(斤平), 병평(竝平), 가평(嘉平) 갑산(甲山) 갑주(甲州) 강계(江界) 독로강(禿魯江) 강동(江東) 강동성(江東城) 강릉(江陵) 하슬라(何瑟羅), 명주(溟州) 강진(康津) 도무(道武), 양무(陽武), 도강(道康), 동음(冬音), 탐진(耽津), 가리포(加里浦) 강화(江華) 혈구군(穴口郡), 해구(海口), 관미성(關彌城), 강도(江都) 개성(開城) 송악(松岳), 송도(松都), 개경(開京) 개풍(開豐) 정주(貞州), 풍덕(豐德), 개성(開城) 거제(巨濟) 장승포(長承浦), 옥포(玉浦), 칠천량(七川梁) 거창(居昌) 거열(居烈) 경산(慶山) 압량주(押梁州), 장산(獐山), 장산(章山) 경주(慶州) 금성(金城), 동경(東京), 사로국(斯盧國), 서라벌(徐羅伐) 계룡(鷄龍) 황등야산(黃等也山), 황산(黃山) 고령(高靈) 고양(高陽), 영천(靈川) 고성(固城) 고자(古自), 당항포(唐項浦) 고성(高城) 달홀(達忽), 수성(守城), 간성(杆城) 고양(高陽) 달을성(達乙省), 고봉(高峯), 덕양(德陽) 고창(高敞) 모량부리(毛良夫里) 고흥(高興) 고이(高伊), 흥양(興陽) 곡산(谷山) 십곡성(十谷城), 곡주(谷州) 곡성(谷城) 욕내(欲乃) 공주(公州) 웅진(熊津), 웅천주(熊川州), 웅주(熊州), 명학소(鳴鶴所), 충순현(忠順縣), 우금치(牛金峙) 과천(果川) 율목군(栗木郡), 율진(栗津), 과주(果州) 광명(光明) 잉벌노(仍伐奴), 곡양(穀壤), 금양(衿陽), 금천(衿川) 광양(光陽) 마로(馬老), 희양(晞陽) 광주(光州) 무진주(武珍州), 무주(武州), 광산(光山) 광주(廣州) 한산주(漢山州), 한주(漢州), 남한산성(南漢山城) 괴산(槐山) 괴양(槐壤), 괴주(槐州), 연풍(延豐) 구례(求禮) 구차례(仇次禮) 구리(九里) 골의노(骨衣奴), 황양(荒壤) 구미(龜尾) 일선(一善), 선주(善州), 선산(善山) 구성(龜城) 만년(萬年), 귀주(龜州) |
현재 이름 옛 이름 및 소재지 군산(群山) 고사비성(古沙比城), 장서량(長西良), 옥구(沃溝) 군위(軍威) 노동멱(奴同覓) 군포(軍浦) 율목군(栗木郡), 율진(栗津), 과주(果州) 금산(錦山) 진내(進乃), 진례(進禮), 금주(錦州), 진산(珍山) 금천(金川) 우봉(牛峯), 토산(兎山), 강음(江陰) 기장(機張) 삽량주(揷良州) 김제(金堤) 벽골(碧骨) 김천(金泉) 감문주(甘文州), 개령(開寧) 김포(金浦) 검포(黔浦), 통진(通鎭), 양천(陽川) 김해(金海) 구야국(狗耶國), 금관경(金官京), 금주(金州), 안골포(安骨浦) ㄴ편집나주(羅州) 발라(發羅), 금산(錦山), 금성(錦城), 반남(潘南) 남양주(南楊州) 골의노(骨衣奴), 황양(荒壤) 남원(南原) 고룡(古龍), 대방(帶方), 남원경(南原京), 거물성(居勿城), 무산성(毋山城), 황산(荒山) 남해(南海) 전야산(轉也山), 관음포(觀音浦) 논산(論山) 황등야산(黃等也山), 덕근(德近), 황산(黃山) ㄷ편집단양(丹陽) 적산(赤山), 단산(丹山), 영춘(永春) 달성(達城) 달구화(達句火), 달구벌(達句伐), 대구(大丘), 적성(赤城) 담양(潭陽) 추자혜(秋子兮), 추성(秋成) 당진(唐津) 운주(運州), 면천(沔川) 대구(大邱) 공산(公山), 달구벌(達句伐) 대전(大田) 우술(雨述), 비풍(比豐), 회덕(懷德), 진잠(鎭岑), 탄현(炭峴) 동두천(東豆川) 이담(伊潭) 동해(東海) 북평(北坪), 묵호(墨湖) ㅁ편집마산(馬山) 골포(骨浦), 합포(合浦) 맹산(孟山) 철옹성(鐵甕城), 맹주(孟州) 목포(木浦) 물아혜(勿阿兮), 물량(勿良) 무안(務安) 물아혜(勿阿兮), 물량(勿良) 무주(茂朱) 무산(茂山), 무풍(茂豐), 적천(赤川), 주계(朱溪)
|
현재 이름 옛 이름 및 소재지 문경(聞慶) 관문(冠文), 고사갈이(高思葛伊) 밀양(密陽) 추화(推火), 밀성(密城), 밀주(密州) ㅂ편집박천(博川) 박릉(博陵), 박주(博州), 가주(嘉州), 가산(嘉山) 벽동(碧潼) 임토(林土), 벽단(碧團), 음동(陰潼) 보령(保寧) 신촌(新村) 보성(寶城) 복홀(伏忽), 산양(山陽), 패주(貝州) 보은(報恩) 삼년(三年), 보령(保齡) 봉산(鳳山) 봉주(鳳州), 봉양(鳳陽), 자비령(慈悲嶺) 봉화(奉化) 고사마(古斯馬), 옥마(玉馬), 봉성(鳳城) 부산(釜山) 거칠산(居漆山), 금관(金官), 동래(東萊), 부산포(富/釜山浦) 부안(扶安) 개화(皆火), 흔량매(欣良買), 부령(扶寧), 희안(喜安), 보안현(保安縣) 부여(扶餘) 소부리(所夫里), 사비(泗沘), 가림성(加林城), 석성(石城), 홍산(鴻山) 부천(富川) 주부토(主夫吐), 장제(長堤), 수주(樹州), 소사(素砂) 북청(北靑) 북청주(北靑州), 청주(靑州) ㅅ편집사천(泗川) 사물(史勿), 사수(泗水), 사주(泗州) 산청(山淸) 지품천(知品川), 산음(山陰), 남소성(南蘇城) 삼척(三陟) 실직(悉直) 상주(尙州) 사벌주(沙伐州), 상주(上州) 서귀포(西歸浦) 정의(旌義), 대정(大靜) 서산(瑞山) 부성(富城) 서울 위례성(慰禮城), 한성(漢城), 한산주(漢山州), 한양(漢陽), 남경(南京) 서천(舒川) 설림(舌林), 남양(南陽), 서림(西林), 기벌포(伎伐浦), 진포(鎭浦) 성남(城南) 한산주(漢山州), 한주(漢州) 성주(星州) 벽진(碧珍), 경산부(京山府), 대주(垈州) 속초(束草) 익현(翼峴), 익령(翼嶺) 수원(水原) 매홀(買忽), 수성(水城), 수주(水州) 순창(淳昌) 도실(道實), 순화(淳化) 순천(順天) 승평(昇平), 승주(昇州) 시흥(始興) 잉벌노(仍伐奴), 곡양(穀壤), 금양(衿陽), 금천(衿川) |
현재 이름 옛 이름 및 소재지 신계(新溪) 신은(新恩), 협계(俠溪), 수곡성(水谷城), 담주(覃州) 신안(新安) 물아혜(勿阿兮) 신흥(新興) 영주(英州) ㅇ편집아산(牙山) 아술(牙述), 음봉(陰峯), 인주(仁州), 아주(牙州), 온양(溫陽) 안동(安東) 고타야(古陀耶), 고창(古昌), 복주(福州) 안변(安邊) 비열홀(比列忽), 천성(淺城), 등주(登州) 안산(安山) 장항구(獐項口), 장구(獐口) 안성(安城) 내혜홀(奈兮忽), 백성(白城), 죽주(竹州) 안양(安養) 율목군(栗木郡), 율진(栗津), 과주(果州), 금천(衿川) 안주(安州) 식성(息城), 중반(重盤), 팽원(彭原), 안융진(安戎鎭) 양구(楊口) 요은홀차(要隱忽次), 양록(楊鹿), 양구(楊溝) 양산(梁山) 삽량주(揷良州), 양주(梁州) 양양(襄陽) 익현(翼峴), 익령(翼嶺) 양주(楊州) 매성(買省), 창화(昌化), 내소(內蘇), 견주(見州) 양평(楊平) 양근(楊根), 지평(砥平) 여수(麗水) 원촌(猿村), 해읍(海邑) 여주(麗州) 골내근(骨內斤), 여흥(驪興), 술천성(述川城) 연기(燕岐) 전기(全岐) 연백(延白) 연안(延安), 배천(白川), 염주(鹽州), 백수성(白水城) 연천(漣川) 장주(障州), 마전(麻田), 적성(積城), 매소성(買肖城) 영광(靈光) 무시이(武尸伊), 무령(武靈) 영덕(盈德) 야시홀(也尸忽), 우시국(于尸國), 야성(野城), 유린군(有隣郡) 영동(永同) 길동(吉同), 계주(稽州) 영암(靈巖) 월내(月奈), 낭주(朗州), 달량포(達梁浦) 영양(英陽) 고은(古隱) 영월(寧越) 내생(奈生), 내성(奈城) 영주(榮州) 내기(奈己), 내령(奈靈), 강주(剛州) 영천(永川) 절야화(切也火), 임고(臨皐), 영주(永州), 칠중성(七重城) 영흥(永興) 화주(和州), 쌍성(雙城), 화려(和麗) 예산(禮山) 오산(烏山), 대흥(大興), 덕산(德山)
|
현재 이름 옛 이름 및 소재지 예천(禮泉) 수주(水酒), 보주(甫州), 기양(基陽), 보천(甫川) 오산(烏山) 매홀(買忽), 수성(水城) 옥천(沃川) 고시산(古尸山), 관성(管城), 관산성(管山城), 옥주(沃州) 옹진(甕津) 옹천(甕遷) 완도(莞島) 새금(塞琴), 청해진(淸海鎭) 완주(完州) 완산주(完山州) 용인(龍仁) 용구(龍駒), 처인(處仁), 양지(陽智) 용천(龍川) 안흥(安興), 용문(龍門), 용골산성(龍骨山城) 울릉(鬱陵) 우산(于山) 울산(蔚山) 굴아화촌(掘阿火村), 울주(蔚州), 학성(鶴城), 염포(鹽浦) 울주(蔚州) 굴아화촌(掘阿火村), 흥례부(興禮府), 공화(恭化) 울진(蔚珍) 우진야(于珍也), 고우이(古于伊), 근을어(近乙於) 원산(元山) 어을매(於乙買), 정천(井泉), 선성(宣城), 춘성(春城), 덕원(德源) 원주(原州) 평원(平原), 북원경(北原京) 은율(殷栗) 율구(栗口), 율천(栗川), 패강진(浿江鎭) 음성(陰城) 잉홀(仍忽) 의령(宜寧) 장함(獐含) 의성(義城) 소문(召文), 문소(聞韶) 의왕(儀旺) 의곡(儀谷), 왕륜(旺倫) 의정부(議政府) 시북곡(柴北谷), 둔야(芚夜), 시둔(柴芚) 의주(義州) 용만(龍灣), 화의(和議), 정주(靜州), 위화진(威化鎭), 백마산성(白馬山城), 보주(保州), 위원진(威遠鎭), 흥화진(興化鎭) 이천(利川) 남천(南川) 익산(益山) 건마국(乾馬國), 금마저(金馬渚), 익주(益州) 인제(麟蹄) 저족(猪足), 오사회(烏斯回), 저제(猪蹄) 인천(仁川) 미추홀(彌鄒忽), 매소홀현(買召忽縣), 경원(慶源), 인주(仁州) 임실(任實) 청웅(靑雄) ㅈ편집장성(長城) 고시이(古尸伊), 구사진혜(丘斯珍兮), 소비혜(所非兮), 갑성(岬城), 진원(珍原), 삼계(森溪) |
현재 이름 옛 이름 및 소재지 장수(長水) 우평(雨坪), 고택(高澤), 백해(伯海), 벽계(壁溪), 장계(長溪) 장흥(長興) 오차(烏次), 회주(懷州) 재령(載寧) 한성(漢城), 중반(重盤), 안주(安州) 전주(全州) 완산(完山) 정선(旌善) 잉매(仍買) 정읍(井邑) 고부(古阜), 태산(太山), 황토현(黃土峴) 정주(定州) 구주(龜州), 곽산(郭山), 곽주(郭州) 정평(定平) 파지(巴只), 선위(宣威), 도련포(都連浦) 제주(濟州) 탐라(耽羅) 제천(堤川) 내토(奈吐), 사열이(沙熱伊), 내제(奈堤), 제주(堤州) 증평(曾坪) 도서(都西), 청안(淸安) 진도(珍島) 인진도(因珍島) 진안(鎭安) 난진아(難珍阿), 물거(勿居) 진주(晉州) 거열성(居烈城), 거열주(居烈州), 청주(菁州), 강주(康州) 진천(鎭川) 금물노(今勿奴), 흑양(黑壤), 황양(黃壤), 강주(降州), 진주(鎭州) 진해(鎭海) 웅천(熊川), 내이포(乃而浦), 제포(薺浦) ㅊ편집창녕(昌寧) 비사벌(比斯伐), 창밀(昌密) 창원(昌原) 의안(義安), 의창(義昌) 천안(天安) 영주(寧州), 영산(寧山), 환주(歡州), 도살성(道薩城) 철원(鐵原) 철원(鐵圓), 모을동비(毛乙冬非), 철성(鐵城), 동주(東州) 청도(淸道) 오악(烏岳), 형산(荊山), 소산(蘇山), 밀성(密城), 운문(雲門) 청송(靑松) 청기(靑杞), 적선(積善), 청보(靑寶) 청양(靑陽) 고량부리(古良夫里), 열기(悅己), 정산(定山) 청원(淸原) 상당(上黨), 낭비성(娘臂城), 낭자곡(娘子谷), 서원경(西原京) 청주(淸州) 상당(上黨), 낭비성(娘臂城), 낭자곡(娘子谷), 서원경(西原京) 춘천(春川) 우수주(牛首州), 수약주(首若州), 삭주(朔州), 광해주(光海州), 춘주(春州) 충주(忠州) 국원성(國原城), 중원경(中原京) 칠곡(漆谷) 팔거리(八居里), 북치장리(北恥長里), 인리(仁里), 팔리(八里), 팔거(八居)
|
현재 이름 옛 이름 및 소재지 ㅌ편집태백(太白) 실직(悉直), 장생(長生), 황지(黃池) 태안(泰安) 성대혜(省大兮), 소태(蘇泰) 통영(統營) 진남(鎭南), 용남(龍南), 당포(唐浦), 사량진(蛇梁鎭) 통천(通川) 휴양(休壤), 금뇌(金惱), 금양(金壤), 도림성(道臨城) ㅍ편집파주(坡州) 파주사(坡州史), 파평(坡平), 적성(積城) 평양(平壤) 서경(西京), 평양성(平壤城) 평원(平原) 숙천(肅川), 영유(永柔), 순안(順安), 평로진(平虜鎭) 평창(平昌) 우오(于烏), 욱오(郁烏), 백오(白烏) 평택(平澤) 부산(釜山), 진위(振威) 포천(抱川) 마홀(馬忽), 견성(堅城), 청성(靑城), 포주(抱州) 포항(浦項) 근오지(斤烏支), 임정(臨汀), 영일(迎日) ㅎ편집하남(河南) 한산주(漢山州), 한주(漢州) 하동(河東) 낙노국(樂奴國) |
현재 이름 옛 이름 및 소재지 함안(咸安) 함주(咸州) 함양(咸陽) 속함(速含), 천령(天嶺) 함주(咸州) 공험진(公嶮鎭), 숭녕진(崇寧鎭), 웅주(雄州), 진양진(眞陽鎭) 함평(咸平) 굴내(屈乃), 다지(多只), 함풍(咸豐), 모평(牟平) 함흥(咸興) 함주(咸州) 합천(陜川) 대양주(大良州), 대야주(大耶州), 강양(江陽), 대야성(大耶城) 해남(海南) 새금(塞琴), 침명(浸溟), 명량(鳴梁), 어란포(於蘭浦) 홍성(洪城) 운주(運州), 홍주(洪州), 결성(結城) 홍원(洪原) 홍긍(洪肯), 홍헌(洪獻) 홍천(洪川) 벌력천(伐力川), 녹효(綠驍) 화성(華城) 매홀(買忽), 당성(唐城), 당항성(黨項城), 수성(水城), 당은(唐恩), 수주(水州) 화순(和順) 능주(綾州), 동복(同福), 능성(綾城) 화천(華川) 생천(牲川), 야시매(也尸買), 낭천(狼川) 회양(淮陽) 각련성(各連城), 연성(連城), 이물성(伊勿城), 교주(交州), 철령(鐵嶺) 횡성(橫城) 횡천(橫川), 어사매(於斯買), 황천(潢川) 흥남(興南) 운남(雲南), 통태진(通泰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