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도강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Jjw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Jjw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505번째 줄:
 
== 만주족 민가의 모습 ==
<big>
七月初一日丁丑 (曉大雨) 留行 與鄭進士 周主簿 卞君 來源 趙主簿 學東 上房乾粮判事 賭紙牌以遣閒 且博飮資也 諸君以余手劣 黜之座 但囑安坐飮酒 諺所謂‘觀光但喫餠’也 尤爲忿恨 亦復柰何 坐觀成敗 酒則先酌也 非惡事
七月初一日丁丑 (曉大雨)
 
</big>
時聞間壁婦人語 聲嫩囀嬌愬 燕燕鶯鶯 意謂主家婆娘 必是絶代佳人 及爲歷翫堂室 一婦人五旬以上年紀 當戶據牀而坐 貌極悍醜 道了“叔叔千福” 余答道“托主人洪福” 余故遲爲 玩其服飾制度 滿髻揷花 金釧寶璫 略施朱粉 身着一領黑色長衣 遍鎖銀紐 足下穿一對靴子 繡得草花蜂蝶 葢滿女不纏脚 不着弓鞋
 
<div style="background-color: #FAFAFA; border: 1px solid #808080; padding: 5px; ">
7월 1일 정축, 새벽에 큰 비.
 
머물렀다.
 
</div>
 
{{글 숨김|제목 = 낱말풀이}}
* 七月初一日(칠월초일일): 칠월 초하루. [[:w:태음태양력|음력]]은 달의 차고 기우는 것을 기준으로 한 달을 셈한다. 보름과 보름 사이의 시간은 약 29.5 일이기 때문에 큰 달은 30일 작은 달은 29일이 한 달이 된다. 앞의 6월 29일 다음으로 7월 1일이 되었으니 이 해 6월은 작은 달 7월은 큰 달이다. 이렇게 셈하여 12 개월을 1년으로 하면 354일이 되어 태양이 24 절기를 순환하는 약 365.25일과 어긋나게 된다. 따라서 달의 진행과 절기의 진행이 너무 차이가 나면 윤달을 두어 태양의 움직임과 맞춘다. 윤달은 19년에 7 번 들어간다. 음력의 1 년은 평년의 경우 354일, 윤달이 있을 경우 383 또는 384일이 된다. 일년의 길이가 일정치 않은 것은 음력의 가장 큰 약점이다.
 
{{글 숨김 끝}}
 
<big>
七月初一日丁丑 (曉大雨) 留行, 與鄭進士, 周主簿, 卞君, 來源, 趙主簿, 學東, 上房乾粮判事, 賭紙牌以遣閒, 且博飮資也 諸君以余手劣, 黜之座, 但囑安坐飮酒, 諺所謂‘觀, 光但喫餠 尤爲忿恨, 亦復柰何 坐觀成敗, 酒則先酌也, 非惡事
 
時聞間壁婦人語, 聲嫩囀嬌愬, 燕燕鶯鶯, 意謂主家婆娘, 必是絶代佳人 及爲歷翫堂室, 一婦人五旬以上年紀, 當戶據牀而坐, 貌極悍醜 道了叔叔千福。」 余答道托主人洪福。」 余故遲爲, 玩其服飾制度, 滿髻揷花, 金釧寶璫, 略施朱粉, 身着一領黑色長衣, 遍鎖銀紐, 足下穿一對靴子, 繡得草花蜂蝶, 葢滿女不纏脚, 不着弓鞋
 
簾中轉出一個處女 年貌似是廿歲以上 處女髻髮中分綰上 以此爲辨 貌亦傑悍 而肌肉白淨 把鐵鏇子 傾綠色瓦盆 滿勺了薥黍飯 盛得一椀 和鏇瀝水 坐西壁下交椅 以箸吸飯 更拿數尺葱根 連葉蘸醬 一飯一佐 項附鷄子大癭瘤 噉飯喫茶 略無羞容 葢歲閱東人 尋常親熟故也
 
庭廣數百間 久雨泥淖 河邊水磨小石如碁子大黃雀卵者 本無用之物 而揀其形色相類者 當門處錯成九苞飛鳳 以禦泥淖 其無棄物 推此可知 鷄皆毛羽脫落 一如抽鑷 往往肉鷄蹁跚 醜惡不忍見
</big>
 
<div style="background-color: #FAFAFA; border: 1px solid #808080; padding: 5px; ">
정진사, 주주부, 변군, 내원, 조주부, 상방 건량판사인 학동 등과 쉬는 틈에 술값 내기 투전을 했다. 여럿이 내가 투전에 서툴다며 자리에서 밀어내고는 그저 앉아서 술이나 마시라고 한다. 이른바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으란 소리다. 슬쩍 배알이 뒤틀렸지만 어쩌랴. 앉아서 남이 따는 것을 구경하며 술은 내가 먼저 마시니 나쁘지 않다.
 
이때 벽틈으로 여성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아리따운 목소리로 지저귀듯 연연앵앵하는데 이 집 주인 댁 여성일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목소리가 저렇게 고우니) 분명 엄청난 미인일 것이다. 장난삼아 소리가 들리는 집 쪽으로 가 보니 오십 세 가량 되어 보이는 한 부인이 그 집 마루에 걸터앉아 있는데 더 할 수 없이 못생긴 얼굴이다. "아저씨 안녕하세요" 하기에 나는 "주인께서도 안녕하시지요?"하고 대답하였다.
 
</div>
 
{{글 숨김|제목 = 낱말풀이}}
* 紙牌(지패): 종이로 만든 패를 이용한 놀이. 투전. 중국에서 전해진 놀이가 조선에서 새로운 규칙으로 정리된 것이다. 마치 일본의 화투가 한국에 넘어와 다른 규칙을 가진 놀이가 된 것과 유사하다. 놀이 방법에 여러 가지가 있었다고 하나 전해오는 방법은 다섯 장의 패에서 세 장으로 10의 배수를 만들고 나머지 두 장으로 끗수를 겨루는 오늘날의 "도리짓고땡"과 같은 방법이 있다.
 
{{글 숨김 끝}}
 
== 벽돌 굽는 가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