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편집

《열하일기》는 박지원이 1780년(정조 4년) 청나라 건륭제의 만수절(萬壽節, 칠순 잔치) 축하 사절로 베이징에 갔을 때 보고 들은 것을 남긴 견문기이다. 박지원은 자신의 삼종형(8촌 형)이자 사절단의 수장인 금성위 박명원의 자제 군관 자격으로 일행에 합류할 수 있었고 러허강(열하강)까지 다녀온 감상을 기록으로 남겼다.

위키백과
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열하일기는 베이징에 다녀온 지 3년이 지난 1783년 집필 되었는데 채 완성도 되기 전에 큰 화제를 불러 여러 문인들이 서로 필사하여 돌려 보았다고 한다. 그 이후로도 여러 차례 필사 되어 현재 전하는 판본은 모두 9 종이나 된다. 여기서는 《연암집》에 수록된 판본을 체택하였다.

박지원은 여행 도중 만난 청나라 사람들의 대화를 되도록 중국어에 가깝게 기록하였다. 박지원이 살던 시기인 18세기 조선에서 사용하던 한문은 중국에서 오래 전부터 더 이상 사용하지 않던 문어체이다. 한편 박지원이 기록한 청나라 사람들의 구어체는 현대 중국어와 매우 유사하다.

지은이가 알려지지 않은 〈열하일기서〉는 후대에 열하일기를 본 사람이 적은 감상문으로 다른 판본에는 전하지 않고 연암산장본에만 수록되어 있다. 이것도 열하일기와 함께 전하는 옛 문헌이므로 함께 번역하였다. 열하일기에는 미완성으로 남아 더 손을 보아야 한다는 6가지 보유(補遺)가 있는데 이 가운데 〈금료소초〉가 연암집에 실려 있고 나머지 〈천애결린집〉, 〈양매시화〉, 〈열하궁전기〉, 〈열하태학기〉, 〈단루필담〉등은 전하지 않는다. 실전된 것은 목차에서 제외하였다.

번역은 되도록 원문을 그대로 옮겨 살리고자 하였으나 현대 한국어에서 쓰이지 않는 낱말이나 한문 문체를 한국어로 그대로 옮기면 어색한 것 등은 적절하게 다듬어 번역하였고 각 문단의 번역 뒤에 낱말 풀이를 두어 한문 낱말의 뜻, 고사성어나 인용문, 역사적 사실, 당시 관직의 설명 등을 실었다.

목차 편집

출전 편집

라이선스 편집